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와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2일 언론관련법 등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 여야대표 협상을 갖고 사회적 논의기구에서 100일간 논의한 뒤 표결 처리하기로 극적 합의했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이날 회담이 시작된지 30여분이 지난 뒤 오후 3시42분께 회담장을 나서면서 “여야간 타결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제시한 ‘100일간 논의 후 국회법에 따라 표결처리’라는 타협안에 대해 한나라당이 이를 수용하면서 막판 타결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여야는 ‘법안 전쟁’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치열한 대치 정국을 펼쳤으며 여야 상생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든 반면, 정쟁은 일상적으로 이뤄졌다.
한나라당은 거듭 ‘속도전’을 주문하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언론관계법을 기습상정하는 등 쟁점법안 처리를 밀어붙이려다 야당과 충돌을 빚었고, 민주당은 2월 임시국회에서도 국회 문방위를 점거하는 등 물리력을 행사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앞서 1월 합의는 여야가 방송법 등 처리시기를 못 박지 않고 ‘합의 처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모호한 표현을 놓고 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으면서 점점 빛을 바랬다.
민주당 원혜영 원내대표는 지난달 1일 KBS일요진단에 출연, “1월6일 원내대표 공식합의문에는 (언론관계법을) ‘2월 임시국회에 상정한다’는 문구가 빠졌다”며 “합의 원칙대로 한다면 미디어법은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친 뒤 합의처리를 위해 노력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빠른 시일이라는 개념을 2월로 보는 것이고 민주당은 (한나라당으로부터)양보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1월 합의에 대한 각각 다른 해석은 2월 임시국회 여야 대치의 도화선이 됐다.
민주당은 임시국회에서 저지해야 할 ‘MB악법’ 30개와 추진할 법안 29개를 선정해 한나라당의 입법전쟁에 맞서기 위한 전열 정비에 착수했다.
한나라당은 경제살리기 법안을 조속히 처리하기 위해 개회와 동시에 쟁점법안 협상에 돌입할 것을 주문했지만 민주당은 새 장관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상임위 가동을 거부했다.
이 가운데 용산 철거민 참사가 발생하자 한나라당은 2월 임시국회가 ‘용산국회’가 연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민주당이 법안 처리 이외에는 다른 사안에 집중할 수 없도록 매일 ‘속도전’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민주당의 쟁점법안 심의 지연 행동에 ‘별종야당’이라며 비꼬기를 계속했고, 이에 민주당 정세균 대표도 ‘별난여당’이라고 맞서는 등 소모적 말싸움도 계속됐다.
상임위 법안 심의가 계속 지연되자 한나라당은 25일 미디어 관련법 기습상정을 단행했고, 이후 정국은 급속히 냉각됐다.
민주당은 곧바로 문방위 무기한 점거에 들어갔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정보위, 지식경제위, 교과위, 정무위 등 이날 예정된 상임위 회의가 곳곳에서 파행 사태를 빚었다.
한나라당은 26일 정무위에서도 경제법안 표결 처리를 시도하는 등 숨 돌릴 틈도 없이 나머지 쟁점법안 처리를 서둘렀다.
국회가 사실상 비상사태에 돌입한 가운데 김형오 국회의장은 한나라당의 요청을 받아들여 27일 예정된 본회의를 취소, 사실상 직권상정 수순밟기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김 의장의 고민이 직권상정 쪽으로 기운 것으로 보이자 “혼란을 종식시키고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푸는 길은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의 칼날”이라며 “자리에 급급해 이미지 관리하지 말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한나라당은 야당의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 점거를 막기 위해 1일 이례적으로 로텐더홀 점거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간 몸싸움이 벌어져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과 서갑원 민주당 의원이 각각 팔과 허리를 다쳤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결국 김형오 국회의장의 중재로 쟁점법안 협상은 극적 타결됐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이날 회담이 시작된지 30여분이 지난 뒤 오후 3시42분께 회담장을 나서면서 “여야간 타결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제시한 ‘100일간 논의 후 국회법에 따라 표결처리’라는 타협안에 대해 한나라당이 이를 수용하면서 막판 타결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여야는 ‘법안 전쟁’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치열한 대치 정국을 펼쳤으며 여야 상생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든 반면, 정쟁은 일상적으로 이뤄졌다.
한나라당은 거듭 ‘속도전’을 주문하며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에서 언론관계법을 기습상정하는 등 쟁점법안 처리를 밀어붙이려다 야당과 충돌을 빚었고, 민주당은 2월 임시국회에서도 국회 문방위를 점거하는 등 물리력을 행사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앞서 1월 합의는 여야가 방송법 등 처리시기를 못 박지 않고 ‘합의 처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모호한 표현을 놓고 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으면서 점점 빛을 바랬다.
민주당 원혜영 원내대표는 지난달 1일 KBS일요진단에 출연, “1월6일 원내대표 공식합의문에는 (언론관계법을) ‘2월 임시국회에 상정한다’는 문구가 빠졌다”며 “합의 원칙대로 한다면 미디어법은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친 뒤 합의처리를 위해 노력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빠른 시일이라는 개념을 2월로 보는 것이고 민주당은 (한나라당으로부터)양보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1월 합의에 대한 각각 다른 해석은 2월 임시국회 여야 대치의 도화선이 됐다.
민주당은 임시국회에서 저지해야 할 ‘MB악법’ 30개와 추진할 법안 29개를 선정해 한나라당의 입법전쟁에 맞서기 위한 전열 정비에 착수했다.
한나라당은 경제살리기 법안을 조속히 처리하기 위해 개회와 동시에 쟁점법안 협상에 돌입할 것을 주문했지만 민주당은 새 장관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되는 동안 상임위 가동을 거부했다.
이 가운데 용산 철거민 참사가 발생하자 한나라당은 2월 임시국회가 ‘용산국회’가 연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민주당이 법안 처리 이외에는 다른 사안에 집중할 수 없도록 매일 ‘속도전’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민주당의 쟁점법안 심의 지연 행동에 ‘별종야당’이라며 비꼬기를 계속했고, 이에 민주당 정세균 대표도 ‘별난여당’이라고 맞서는 등 소모적 말싸움도 계속됐다.
상임위 법안 심의가 계속 지연되자 한나라당은 25일 미디어 관련법 기습상정을 단행했고, 이후 정국은 급속히 냉각됐다.
민주당은 곧바로 문방위 무기한 점거에 들어갔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정보위, 지식경제위, 교과위, 정무위 등 이날 예정된 상임위 회의가 곳곳에서 파행 사태를 빚었다.
한나라당은 26일 정무위에서도 경제법안 표결 처리를 시도하는 등 숨 돌릴 틈도 없이 나머지 쟁점법안 처리를 서둘렀다.
국회가 사실상 비상사태에 돌입한 가운데 김형오 국회의장은 한나라당의 요청을 받아들여 27일 예정된 본회의를 취소, 사실상 직권상정 수순밟기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김 의장의 고민이 직권상정 쪽으로 기운 것으로 보이자 “혼란을 종식시키고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푸는 길은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의 칼날”이라며 “자리에 급급해 이미지 관리하지 말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한나라당은 야당의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 점거를 막기 위해 1일 이례적으로 로텐더홀 점거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간 몸싸움이 벌어져 차명진 한나라당 의원과 서갑원 민주당 의원이 각각 팔과 허리를 다쳤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결국 김형오 국회의장의 중재로 쟁점법안 협상은 극적 타결됐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