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추경예산 편성에 대해 야당 뿐 아니라 한나라당내에서도 난색을 표하고 있는 가운데 박희태(사진) 한나라당 대표가 “추경규모는 커야 한다”며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박희태 대표는 9일 오전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추경 규모가 결정된 것이 없어 당내에서 일부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으나 추경규모는 통상적인 규모보다는 훨씬 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돈을 풀어야 한다는 것은 모두 의견이 일치된다”며 “돈이 돌아야 일자리도 생기고 경제도 회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기업에게 금고문을 열어라 호소를 했으나 별 반응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결국 돈을 풀 수 있는 것은 정부인데 정부가 돈을 푼다면 우리가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있는 환경을 생각해 통상보다는 크게 풀어야 할 것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추경예산 편성에 대해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 등 정부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당정 상호간 협의를 하고 있다”며 “추경의 재원도 생각을 해야 하고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그런 재원인가 하는 점도 연구를 해서 토의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박 대표는 “예산안 날치기에 대한 사과 없이는 추경은 꿈도 꾸지 마라”는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 “야당도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추경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며 “현 상황에서 정부 재정 지출을 늘리는 것을 반대한다고는 못할 것”이라고 이를 일축했다.
이어 그는 “그 규모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해나간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박희태 대표는 9일 오전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추경 규모가 결정된 것이 없어 당내에서 일부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으나 추경규모는 통상적인 규모보다는 훨씬 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돈을 풀어야 한다는 것은 모두 의견이 일치된다”며 “돈이 돌아야 일자리도 생기고 경제도 회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기업에게 금고문을 열어라 호소를 했으나 별 반응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결국 돈을 풀 수 있는 것은 정부인데 정부가 돈을 푼다면 우리가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있는 환경을 생각해 통상보다는 크게 풀어야 할 것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추경예산 편성에 대해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 등 정부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당정 상호간 협의를 하고 있다”며 “추경의 재원도 생각을 해야 하고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그런 재원인가 하는 점도 연구를 해서 토의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박 대표는 “예산안 날치기에 대한 사과 없이는 추경은 꿈도 꾸지 마라”는 민주당의 비판에 대해 “야당도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추경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며 “현 상황에서 정부 재정 지출을 늘리는 것을 반대한다고는 못할 것”이라고 이를 일축했다.
이어 그는 “그 규모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해나간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