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소속 안형환(서울 금천) 의원이 10일 “임금 줄여 ‘잡 셰어링’ 한다더니, 6대 공공기관장 연봉 되레 인상됐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안형환 의원이 지난 8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기관 기관장 연봉 현황' 자료에 따르면 문광부 산하 26개 기관 중 6개 기관장의 올해 기본 연봉이 지난해에 비해 인상됐다.
기본연봉을 책정하지 못한 영화진흥위원회 등 2곳과 지난해 기관장이 공석이어서 비교가 불가능한 명동·정동극장 장을 제외한 23개 공공기관의 26%가 기관장 연봉을 올린 것이다.
반면 기본연봉이 동결된 곳은 13곳, 삭감된 곳은 4곳에 그쳤다.
국제방송교류재단은 기관장 기본연봉을 동결했지만 성과급을 지난해보다 250만원이상 늘렸다.
특히 참여정부 때인 2007년에 비해 기관장 연봉이 인상된 곳은 비교가 가능한 24개 중 17개에 달했다.
연봉 수준도 높아 문광부 산하 기관장의 올해 평균 기본 연봉은 9616만원을 기록했다.
안 의원은 “성과급 등을 감안하면 대부분 기관장 연봉이 1억원을 크게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해에는 성과급과 기본연봉을 합쳐 1억원 이상을 받은 기관장만 모두 14명이었고, 이 중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의 연봉은 무려 2억5300만원이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관광공사의 경우 지난해 성과급(9731만원)이 기본연봉(9253만원)보다 많았다.
또 한국문화진흥이 지난해 기본 연봉의 87%에 육박하는 7000여만원을 대표이사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했고, 경북관광개발공사, 그랜드코리아레저 등도 성과급이 기본연봉의 절반을 넘었다.
안 의원은 ""취업문을 어렵게 뚫은 젊은 신입직원 임금만 깎는 데 그치지 않고 공기업 기관장들이 임금 삭감을 솔선수범해야 국민들에게 일자리 나누기를 호소할 명분이 생길 것""이라며 “대졸 초임을 인하해 '잡 셰어링'을 하겠다던 공공기관들이 임원들은 배제한 채 신입직원 임금만 줄이려는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안형환 의원이 지난 8일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기관 기관장 연봉 현황' 자료에 따르면 문광부 산하 26개 기관 중 6개 기관장의 올해 기본 연봉이 지난해에 비해 인상됐다.
기본연봉을 책정하지 못한 영화진흥위원회 등 2곳과 지난해 기관장이 공석이어서 비교가 불가능한 명동·정동극장 장을 제외한 23개 공공기관의 26%가 기관장 연봉을 올린 것이다.
반면 기본연봉이 동결된 곳은 13곳, 삭감된 곳은 4곳에 그쳤다.
국제방송교류재단은 기관장 기본연봉을 동결했지만 성과급을 지난해보다 250만원이상 늘렸다.
특히 참여정부 때인 2007년에 비해 기관장 연봉이 인상된 곳은 비교가 가능한 24개 중 17개에 달했다.
연봉 수준도 높아 문광부 산하 기관장의 올해 평균 기본 연봉은 9616만원을 기록했다.
안 의원은 “성과급 등을 감안하면 대부분 기관장 연봉이 1억원을 크게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해에는 성과급과 기본연봉을 합쳐 1억원 이상을 받은 기관장만 모두 14명이었고, 이 중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의 연봉은 무려 2억5300만원이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관광공사의 경우 지난해 성과급(9731만원)이 기본연봉(9253만원)보다 많았다.
또 한국문화진흥이 지난해 기본 연봉의 87%에 육박하는 7000여만원을 대표이사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했고, 경북관광개발공사, 그랜드코리아레저 등도 성과급이 기본연봉의 절반을 넘었다.
안 의원은 ""취업문을 어렵게 뚫은 젊은 신입직원 임금만 깎는 데 그치지 않고 공기업 기관장들이 임금 삭감을 솔선수범해야 국민들에게 일자리 나누기를 호소할 명분이 생길 것""이라며 “대졸 초임을 인하해 '잡 셰어링'을 하겠다던 공공기관들이 임원들은 배제한 채 신입직원 임금만 줄이려는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