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4.29 재.보궐선거에서 완패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당내 친이 세력 일각에서는 ‘박근혜 지원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내 친이 세력으로 분류되는 한 관계자는 23일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재선거 실시가 확정된 5개 선거구 중 어느 한 곳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절박한 상황”이라며 “재보선 승리를 위해서는 대중적 인지도와 득표력이 높은 '선거의 여왕' 박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친이 핵심인 안경률 사무총장도 전날 ""공천 과정에서 (박 전 대표 측과)서로 교감을 가질 것이고, 공천이 결정되면 (박 전 대표도) 흔쾌히 도와줄 것""이라며 박 전 대표에게 사실상 '러브콜'을 보냈다.
그러면 왜, 한나라당 친이 세력은 이토록 간절하게 ‘박근혜’를 부르고 있는가.
4.29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5곳 모두 한나라당 후보로서는 힘겨운 싸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우선 민주당 텃밭인 전주 완산과 덕진 2곳은 사실상 포기한 상태나 다를 바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수도권 지역인 인천 부평을은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는 곳이지만,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잇따른 실정으로 지역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것 같다.
당초 이곳 출마가 예상됐던 ‘거물 정치인’ 김덕룡 대통령 특보가 몸을 사리는 것만 보아도 그 사정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 한나라당 텃밭이라는 영남 지역 2곳은 안전한가.
우선 울산 북구는 진보 진영과의 맞대결이라는 점에서 힘겨운 싸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후보단일화를 이뤄낼 경우, 한나라당 후보로 누가 나서든 ‘단일후보’의 장벽을 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불출마를 선언한 배경에는 이런 어려움이 작용했는지도 모른다.
경북 경주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이곳에서는 친이계의 정종복 전 의원과 친박 성향의 무소속 정수성 예비후보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재보궐 ‘불패신화’는 사라지고,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연패신화’라는 새로운 기록을 남기게 될지도 모른다.
이미 이명박 대통령 취임 100일 쯤에 실시된 치러진 지난 6.4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은 9곳의 기초단체장 선거구 중에 한곳만 당선자를 내는 등 사실상 참패를 면치 못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간판으로 있던 시절, 연승에 연승을 거듭해 ‘48대 0’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한나라당 재.보궐 불패신화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그런데 이번 재보궐 선거 역시 어렵다고 하니, 단순히 ‘불패신화의 끝’이 아니라, ‘연패신화의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명박 정권에 분노한 민심을 무엇으로 막겠는가.
불행하게도 현재 한나라당이 가지고 있는 방어 무기라고는 ‘박근혜’ 밖에 없다.
그래서 친이 측이 ‘박근혜 지원’을 간절하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지유세에 나서겠다는 말은 물론, 나서지 않겠다는 말도 하지 않은 채 그저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그러자 친이 세력이 주축을 이룬 당지도부 일각에서 부랴부랴 친박계 추천 인사를 부평을이나 울산 북구 중 최소한 1곳에 전략공천하는 '성의'라도 보여주자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울산 북구에 현명관 전 삼성물산 회장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게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다.
일종의 ‘사탕발림’이다.
과연 그러면,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 후보들에 대해 지원유세에 나설까?
아니다.
박 전 대표의 성품상 그런 게 탐나서 지원유세에 나설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물론 항간의 추측대로 친이계와의 뿌리 깊은 불신 때문에 지원유세에 나서지 않는 것도 아니다.
박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서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현 정권이나 당 지도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함일 것이고, 반대로 지원유세에 나선다면 그것은 국민의 간곡한 요청이 있는 경우로 국한될 것이다.
그런데 지금, 이명박 대통령에 분노한 민심은 박 전 대표에게 “제발, 한나라당 후보를 살려달라”고 애원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그러니 지난 18대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이 대통령을 지지한 그 책임을 지고 이기든 지든 스스로 선거에 임해야 할 것이다.
자업자득인 셈이다.
한나라당 내 친이 세력으로 분류되는 한 관계자는 23일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재선거 실시가 확정된 5개 선거구 중 어느 한 곳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절박한 상황”이라며 “재보선 승리를 위해서는 대중적 인지도와 득표력이 높은 '선거의 여왕' 박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친이 핵심인 안경률 사무총장도 전날 ""공천 과정에서 (박 전 대표 측과)서로 교감을 가질 것이고, 공천이 결정되면 (박 전 대표도) 흔쾌히 도와줄 것""이라며 박 전 대표에게 사실상 '러브콜'을 보냈다.
그러면 왜, 한나라당 친이 세력은 이토록 간절하게 ‘박근혜’를 부르고 있는가.
4.29 재.보궐선거가 실시되는 5곳 모두 한나라당 후보로서는 힘겨운 싸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우선 민주당 텃밭인 전주 완산과 덕진 2곳은 사실상 포기한 상태나 다를 바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수도권 지역인 인천 부평을은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는 곳이지만,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잇따른 실정으로 지역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것 같다.
당초 이곳 출마가 예상됐던 ‘거물 정치인’ 김덕룡 대통령 특보가 몸을 사리는 것만 보아도 그 사정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 한나라당 텃밭이라는 영남 지역 2곳은 안전한가.
우선 울산 북구는 진보 진영과의 맞대결이라는 점에서 힘겨운 싸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후보단일화를 이뤄낼 경우, 한나라당 후보로 누가 나서든 ‘단일후보’의 장벽을 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불출마를 선언한 배경에는 이런 어려움이 작용했는지도 모른다.
경북 경주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이곳에서는 친이계의 정종복 전 의원과 친박 성향의 무소속 정수성 예비후보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재보궐 ‘불패신화’는 사라지고,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연패신화’라는 새로운 기록을 남기게 될지도 모른다.
이미 이명박 대통령 취임 100일 쯤에 실시된 치러진 지난 6.4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은 9곳의 기초단체장 선거구 중에 한곳만 당선자를 내는 등 사실상 참패를 면치 못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간판으로 있던 시절, 연승에 연승을 거듭해 ‘48대 0’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한나라당 재.보궐 불패신화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그런데 이번 재보궐 선거 역시 어렵다고 하니, 단순히 ‘불패신화의 끝’이 아니라, ‘연패신화의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그래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명박 정권에 분노한 민심을 무엇으로 막겠는가.
불행하게도 현재 한나라당이 가지고 있는 방어 무기라고는 ‘박근혜’ 밖에 없다.
그래서 친이 측이 ‘박근혜 지원’을 간절하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지유세에 나서겠다는 말은 물론, 나서지 않겠다는 말도 하지 않은 채 그저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그러자 친이 세력이 주축을 이룬 당지도부 일각에서 부랴부랴 친박계 추천 인사를 부평을이나 울산 북구 중 최소한 1곳에 전략공천하는 '성의'라도 보여주자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울산 북구에 현명관 전 삼성물산 회장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게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다.
일종의 ‘사탕발림’이다.
과연 그러면,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 후보들에 대해 지원유세에 나설까?
아니다.
박 전 대표의 성품상 그런 게 탐나서 지원유세에 나설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물론 항간의 추측대로 친이계와의 뿌리 깊은 불신 때문에 지원유세에 나서지 않는 것도 아니다.
박 전 대표가 지원유세에 나서지 않는다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현 정권이나 당 지도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함일 것이고, 반대로 지원유세에 나선다면 그것은 국민의 간곡한 요청이 있는 경우로 국한될 것이다.
그런데 지금, 이명박 대통령에 분노한 민심은 박 전 대표에게 “제발, 한나라당 후보를 살려달라”고 애원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그러니 지난 18대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이 대통령을 지지한 그 책임을 지고 이기든 지든 스스로 선거에 임해야 할 것이다.
자업자득인 셈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