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내 친박 친이간 당협위원장 문제가 점차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는 가운데 허태열(사진) 최고위원이 “당협위원장이 현직 우선이라는 것은 오랜 관행”이라며 계파간 마찰 우려를 일축하고 나섰다.
허태열 최고위원은 24일 오전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이미 박희태 대표께서도 당협위원장은 현직 국회의원으로 하는 게 좋겠다고 입장을 정리한 바 있지 않냐”며 “이 문제로 계속 파열음을 내는 것은 당력의 분산이고 약화”라고 지적했다.
허 최고위원은 “당협위원장이란 자리는 누구든 정당, 지역을 대표하는 분이 맡아야 한다”며 “지역 주민의 신임을 얻은 국회의원이 하는 것이 국민 민심에 따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천 한 번 받았다는 이유로 지역주민들의 민심을 얻지 못한 사람들이 당협위원장이라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정치현실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게 허 최고위원의 입장이다.
이어 그는 “국민 민심을 얻지 못한 사람이 당협위원장을 하고 국민 민심을 얻은 사람이 당협위원장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정당이 국민의 민심을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허태열 최고위원은 24일 오전 BBS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이미 박희태 대표께서도 당협위원장은 현직 국회의원으로 하는 게 좋겠다고 입장을 정리한 바 있지 않냐”며 “이 문제로 계속 파열음을 내는 것은 당력의 분산이고 약화”라고 지적했다.
허 최고위원은 “당협위원장이란 자리는 누구든 정당, 지역을 대표하는 분이 맡아야 한다”며 “지역 주민의 신임을 얻은 국회의원이 하는 것이 국민 민심에 따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천 한 번 받았다는 이유로 지역주민들의 민심을 얻지 못한 사람들이 당협위원장이라도 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정치현실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게 허 최고위원의 입장이다.
이어 그는 “국민 민심을 얻지 못한 사람이 당협위원장을 하고 국민 민심을 얻은 사람이 당협위원장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정당이 국민의 민심을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