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부터 신문산업 위기… 이젠 각종 제도적규제 풀때”

    정치 / 시민일보 / 2009-04-08 19:28:51
    • 카카오톡 보내기
    정병국 한나라의원 “즉흥적 자금지원은 문제”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신문 산업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추경의 일부를 신문업계 살리기에 써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은 8일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잘못 접근하고 있다”며 “그동안 방송이나 신문 위주로 매체가 활성화됐을 당시에 만들어놨던 각종 제도적 규제를 이제는 풀어야 될 때”라고 주장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문 산업을 보면 1996년도에 정기 구독률이 69.3%였던 것에 비해 2008년도에는 36.8%로 급감했으며, 주요 26개 신문사의 지난 한 해 기업 공시 현황만 해도 전년 대비 매출액이 약 3100억, 순이익이 1200억 정도 감소했다.

    뿐만 아니라 주요 10대 중앙 일간지의 총 부채 규모만 해도 1조7000억이 넘는 수준이다.

    이와 관련, 정 의원은 “한나라당은 2004년부터 신문 산업의 위기에 대해 구조적인 환경을 바꿔줘야 한다고 끊임없이 문제제기 했다”며 “제도적 정비가 우선된 다음에 이를 바탕으로 신문 산업이 어떤 자리매김을 해야 하고 위상 정립을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저희 한나라당은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이런 미디어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 강구를 위해 미디어 관련법들을 만들어 냈다”며 “일시적이고 즉흥적인 자금지원을 하게 되면 오히려 구조 개편을 지연시키고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인터넷 산업에 대해서는 “구조적이라기보다는 일시적인 경제적 상황에 의해서 악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 의원은 “경제적으로 어려워 모든 기업들이 광고를 줄이게 되니까 생긴 일시적인 어려움”이라며 “신문 산업의 위기와는 본질이 틀리다”고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