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1일 국회사무처의 국회기자회견장 운영개선 방안을 놓고 “국회사무처가 정론관에서 국민을 쫒아내려 한다”며 맹비난하고 나섰다.
우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브리핑을 통해 “국회사무처는 이제 국회의원을 제외하고 정론관을 사용할 수 없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제 정론관은 우민관으로 변해버렸다”고 일침을 가했다.
앞서 국회사무처는 외부인의 무분별한 기자회견으로 인해 국회 관련기관의 공식적인 입장과 외부단체의 개별적인 입장이 혼재돼 발표되는 문제점이 있다는 명목 하에 ‘국회기자회견장 운영지침’을 개정, 1일부터 국회기자회견장 사용권자를 국회의원, 국회대변인, 원내정당대변인, 실·국장급 이상 국회직원 등으로 한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우 대변인은 “반성 없는 정권을 보면서 암울해하는 국민의 마음을 표현하고자 한 국회사무처의 퍼포먼스인가. 아니면 끝까지 반성하지 않는 억압정권의 코드에 맞추려는 몸부림인가 묻고 싶다”며 “(국회기자회견장이)누구나 정당한 주장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 정치로부터 국민을 배제시키고 관심이 멀어지게 만드는 우민정책의 실험장이 되어 버렸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그는 “역행하는 국회의 모습과 후퇴를 거듭하는 민주주의의 모습이 판을 박은 듯 유사하다”고 비꼬았다.
또한 이날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국회 정론관의 모습이 이 정권의 특색이 맞게 더욱 권위적이고 인위적인 어색한 모습으로 바뀌었다"며 "집회도 못하게 하고, 정권과 정부가 막혀 있는 상황에서 유일한 소통기회인 국회 정론관 이용마저 막아버려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우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브리핑을 통해 “국회사무처는 이제 국회의원을 제외하고 정론관을 사용할 수 없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제 정론관은 우민관으로 변해버렸다”고 일침을 가했다.
앞서 국회사무처는 외부인의 무분별한 기자회견으로 인해 국회 관련기관의 공식적인 입장과 외부단체의 개별적인 입장이 혼재돼 발표되는 문제점이 있다는 명목 하에 ‘국회기자회견장 운영지침’을 개정, 1일부터 국회기자회견장 사용권자를 국회의원, 국회대변인, 원내정당대변인, 실·국장급 이상 국회직원 등으로 한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우 대변인은 “반성 없는 정권을 보면서 암울해하는 국민의 마음을 표현하고자 한 국회사무처의 퍼포먼스인가. 아니면 끝까지 반성하지 않는 억압정권의 코드에 맞추려는 몸부림인가 묻고 싶다”며 “(국회기자회견장이)누구나 정당한 주장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 정치로부터 국민을 배제시키고 관심이 멀어지게 만드는 우민정책의 실험장이 되어 버렸다”고 개탄했다.
그러면서 그는 “역행하는 국회의 모습과 후퇴를 거듭하는 민주주의의 모습이 판을 박은 듯 유사하다”고 비꼬았다.
또한 이날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국회 정론관의 모습이 이 정권의 특색이 맞게 더욱 권위적이고 인위적인 어색한 모습으로 바뀌었다"며 "집회도 못하게 하고, 정권과 정부가 막혀 있는 상황에서 유일한 소통기회인 국회 정론관 이용마저 막아버려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