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 친박 이정현 의원은 22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국정쇄신책의 일환으로 과감한 화합-탕평인사를 주문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이 ‘근원적 처방’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 “근원적인 처방은 어렵게 갈 필요가 없다. 상식이다. 국민이든 정치권이든 누가 봐도 상식적인 국정운영, 그거하면 되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수준에 맞게 대통령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향이나 이런 것에 국정운영을 맡기는 것보다는 시스템에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사 면에 있어서, 공천 면에 있어서, 당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이건 개입해서는 안 된다, 소통이 좀 부족했다? 소통하면 되는 거다. 너무 배제를 많이 시켰다? 그렇다면 탕평을 하면 되는 거다. 독선이고 독주였다? 당연히 보편적으로 생각을 해서 민주 방식으로 운영을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정권 초반의 불안 때문에 장악을 하기 위해 측근 정치를, 인사를 했다고 한다면, 이제는 과감한 탕평인사를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내 초선모임인 민본21이 국정쇄신안을 독자적으로 발표하면서, 그 내용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국정 동반자 약속을 이 대통령은 이행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대통령께서 대통령 되시기 전에 그것도 국민 앞에 기자회견이라는 특별한 방법을 통해서 분명하게 선거 끝나고 자기가 이긴다면 박근혜 전 대표를 국정의 동반자 또는 정치의 파트너로 인정을 하고 함께 이끌어가겠다고 얘기를 했다.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해서 그것이 인사가 됐든, 과거 박근혜 전 대표 시절 국민들에게 야당으로서 집권하면 후에 지키겠다고 하는 많은 공약들을 제시를 하고 약속들을 했다”며 “(그런데) 정책들 또는 인사 부분에 있어서 상식적으로 동반자로서 파트너로서 누가 봐도 그만큼 배려를 했다, 그만큼 관심을 가졌다라고 할 수 있느냐, 그런 것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더 잘 알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홍준표 전 원내대표가 “박근혜 전 대표는 패자의 길을 가셔야 된다” 고 발언한 것에 대해 “패자의 길이 무엇이냐?”고 반문 한 후 “온 국민들이 감동할 정도로 깨끗하게 승복했다. 그리고 선거 지원 유세도 했다. 선거 끝나고 난 뒤에 대통령 취임해서 대통령 중심으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를 해야 되는데, 박근혜 전 대표처럼 그런 위치에 있는 분들이 다른 방향으로 활발한 정치활동을 하게 되면, 정치권 전체의 조기 대선 붐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게 되게 되면 현 대통령은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고. 또 조기레임덕도 예상될 수 있는 문제다. 그래서 제가 생각할 때는, 지금은 조용히 계셔드리는 것이 대통령께 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활동을 자제를 하시면서 조용히 있는 거다. 그게 패자의 길이지 그보다 더 한 게 어떤 게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논란 중인 미디어법 처리와 관련, 6월처리는 국민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지켜져야 하지만, 전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전제사항에 대해 “야당 또는 일부 방송에 종사하고 있는 분들이 염려하고 있는 정권의 독점, 정권이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는 여론이 독과점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 몇 가지 우려사항이 있다. 이 우려사항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제한 규정들을 좀 더 진지하게 논의되고 제시됐었어야 되는데. 솔직히 여당 쪽에서 이러한 제한 규정들, 자유 민주주의국가에서 언론 자유를 허용하고 있는 모든 나라가 준비하고 있는 또는 갖추고 있는 이런 제한 규정들에 대해서 한나라당이 그동안 제시하는 데 소홀했다”며 “지금이라도 이런 안을 제시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 안을 제시를 하고, 야당도 그것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또 다른 안을 제시를 해서, 남은 6월 국회 기간 동안에 논의를 해서 당초 약속대로 6월에 처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의 논의가 여론조사 때문에 지지부진한 것에 대해 “하지 말자는 여당도, 하자는 야당도 당리당략”이라고 싸잡아 비난했다.
이 의원은 민주당이 국회 개원 조건 중 하나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대통령이, 그게 사과든 아니든 어떤 형태로든 국민들 모두가 큰 충격을 겪었다고 한다면 국가 최고 지도자로서 당연히 국민들에게 위무와 위로와 그리고 재발방지를 위한 어떤 말씀이 있었어야 된다”면서도 “그렇지만 그건 대통령의 의무이고 대통령이 해야 할 도리로 치부해야지, 야당이 그것을 이유로 해서 국회를 안 들어온다는 것은 조금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이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이 ‘근원적 처방’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 “근원적인 처방은 어렵게 갈 필요가 없다. 상식이다. 국민이든 정치권이든 누가 봐도 상식적인 국정운영, 그거하면 되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수준에 맞게 대통령이 개인적인 취향이나 성향이나 이런 것에 국정운영을 맡기는 것보다는 시스템에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사 면에 있어서, 공천 면에 있어서, 당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이건 개입해서는 안 된다, 소통이 좀 부족했다? 소통하면 되는 거다. 너무 배제를 많이 시켰다? 그렇다면 탕평을 하면 되는 거다. 독선이고 독주였다? 당연히 보편적으로 생각을 해서 민주 방식으로 운영을 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정권 초반의 불안 때문에 장악을 하기 위해 측근 정치를, 인사를 했다고 한다면, 이제는 과감한 탕평인사를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내 초선모임인 민본21이 국정쇄신안을 독자적으로 발표하면서, 그 내용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국정 동반자 약속을 이 대통령은 이행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대통령께서 대통령 되시기 전에 그것도 국민 앞에 기자회견이라는 특별한 방법을 통해서 분명하게 선거 끝나고 자기가 이긴다면 박근혜 전 대표를 국정의 동반자 또는 정치의 파트너로 인정을 하고 함께 이끌어가겠다고 얘기를 했다.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해서 그것이 인사가 됐든, 과거 박근혜 전 대표 시절 국민들에게 야당으로서 집권하면 후에 지키겠다고 하는 많은 공약들을 제시를 하고 약속들을 했다”며 “(그런데) 정책들 또는 인사 부분에 있어서 상식적으로 동반자로서 파트너로서 누가 봐도 그만큼 배려를 했다, 그만큼 관심을 가졌다라고 할 수 있느냐, 그런 것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더 잘 알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홍준표 전 원내대표가 “박근혜 전 대표는 패자의 길을 가셔야 된다” 고 발언한 것에 대해 “패자의 길이 무엇이냐?”고 반문 한 후 “온 국민들이 감동할 정도로 깨끗하게 승복했다. 그리고 선거 지원 유세도 했다. 선거 끝나고 난 뒤에 대통령 취임해서 대통령 중심으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를 해야 되는데, 박근혜 전 대표처럼 그런 위치에 있는 분들이 다른 방향으로 활발한 정치활동을 하게 되면, 정치권 전체의 조기 대선 붐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게 되게 되면 현 대통령은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고. 또 조기레임덕도 예상될 수 있는 문제다. 그래서 제가 생각할 때는, 지금은 조용히 계셔드리는 것이 대통령께 큰 도움을 주는 것이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활동을 자제를 하시면서 조용히 있는 거다. 그게 패자의 길이지 그보다 더 한 게 어떤 게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논란 중인 미디어법 처리와 관련, 6월처리는 국민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지켜져야 하지만, 전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전제사항에 대해 “야당 또는 일부 방송에 종사하고 있는 분들이 염려하고 있는 정권의 독점, 정권이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는 여론이 독과점 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 몇 가지 우려사항이 있다. 이 우려사항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제한 규정들을 좀 더 진지하게 논의되고 제시됐었어야 되는데. 솔직히 여당 쪽에서 이러한 제한 규정들, 자유 민주주의국가에서 언론 자유를 허용하고 있는 모든 나라가 준비하고 있는 또는 갖추고 있는 이런 제한 규정들에 대해서 한나라당이 그동안 제시하는 데 소홀했다”며 “지금이라도 이런 안을 제시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 안을 제시를 하고, 야당도 그것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또 다른 안을 제시를 해서, 남은 6월 국회 기간 동안에 논의를 해서 당초 약속대로 6월에 처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의 논의가 여론조사 때문에 지지부진한 것에 대해 “하지 말자는 여당도, 하자는 야당도 당리당략”이라고 싸잡아 비난했다.
이 의원은 민주당이 국회 개원 조건 중 하나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 “대통령이, 그게 사과든 아니든 어떤 형태로든 국민들 모두가 큰 충격을 겪었다고 한다면 국가 최고 지도자로서 당연히 국민들에게 위무와 위로와 그리고 재발방지를 위한 어떤 말씀이 있었어야 된다”면서도 “그렇지만 그건 대통령의 의무이고 대통령이 해야 할 도리로 치부해야지, 야당이 그것을 이유로 해서 국회를 안 들어온다는 것은 조금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