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T노조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탈퇴 여부를 놓고 17일 투표를 할 예정인 가운데 이에 대한 도미노 현상도 우려돼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민노총 김태현 정책실장은 14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민노총은) 노동조합원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운 단체이기 때문에 보장이 되어야 한다”면서도 “문제는 과연 노조 지도부의 선택이 조합원들의 민주적 선택이 보장된 상태에서 이런 것이 이뤄져 왔느냐는 부분들이 문제가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 KT는 회사가 분사를 앞두고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하는 사정이 있어 회사가 노동부에 일정한 부당 노동행위나 불법행위 등에 개입돼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김 실장의 생각이다.
또한 KT노조의 탈퇴 이유가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것인데, 규모가 큰 대기업 노조 중 하나인 KT노조가 비정규직과 같은 부분의 이익이 아닌 정규직 이익만을 위한다는 우려도 일고 있는 상황이다.
김 실장은 “민주노총 탈퇴 투표 선언을 한 집행부에 대해 이를 비판하는 조합원들의 기자 회견이 본당 분사 앞에서 열리기도 했다”며 “작년 선거에 대해서도 각종 소송이 진행 중일 정도로 KT 노조는, 사측이 자신들이 원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한 투표 개입 의혹이 상당히 있어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KT노조가 조합원 투표에 의해 탈퇴가 결정이 되면 이에 따른 자회사 관련 노조들이 도미노 현상으로 대거 민노총을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김 의장은 “KT노조가 탈퇴가 조합원 투표에 의해 결정이 되면 KT 자회사 관련 노조들에 일정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특정 노조의 탈퇴나 참여 하나만 가지고 침소봉대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오히려 어떤 노동조합이 전체 노동자를 위해서 일하는 지 이런 부분들을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들의 분노를 산 바 있는 KT내부 비리와 민노총 탈퇴 움직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노조에 대해 압박을 하기 위한 부분으로 일정하게 그런 부분을 활용할 수도 있었다고 생각한다”라면서도 “그런 건 섣부른 추측을 갖고 어떻게 할 수는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만일 일정하게 일부 비리 부분을 노조 탈퇴를 위한 근거로 삼는 등 정치적 흥정을 위해서 활용했다면 매우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민노총 김태현 정책실장은 14일 오전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민노총은) 노동조합원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운 단체이기 때문에 보장이 되어야 한다”면서도 “문제는 과연 노조 지도부의 선택이 조합원들의 민주적 선택이 보장된 상태에서 이런 것이 이뤄져 왔느냐는 부분들이 문제가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 KT는 회사가 분사를 앞두고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하는 사정이 있어 회사가 노동부에 일정한 부당 노동행위나 불법행위 등에 개입돼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김 실장의 생각이다.
또한 KT노조의 탈퇴 이유가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것인데, 규모가 큰 대기업 노조 중 하나인 KT노조가 비정규직과 같은 부분의 이익이 아닌 정규직 이익만을 위한다는 우려도 일고 있는 상황이다.
김 실장은 “민주노총 탈퇴 투표 선언을 한 집행부에 대해 이를 비판하는 조합원들의 기자 회견이 본당 분사 앞에서 열리기도 했다”며 “작년 선거에 대해서도 각종 소송이 진행 중일 정도로 KT 노조는, 사측이 자신들이 원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한 투표 개입 의혹이 상당히 있어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KT노조가 조합원 투표에 의해 탈퇴가 결정이 되면 이에 따른 자회사 관련 노조들이 도미노 현상으로 대거 민노총을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김 의장은 “KT노조가 탈퇴가 조합원 투표에 의해 결정이 되면 KT 자회사 관련 노조들에 일정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특정 노조의 탈퇴나 참여 하나만 가지고 침소봉대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오히려 어떤 노동조합이 전체 노동자를 위해서 일하는 지 이런 부분들을 중심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들의 분노를 산 바 있는 KT내부 비리와 민노총 탈퇴 움직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노조에 대해 압박을 하기 위한 부분으로 일정하게 그런 부분을 활용할 수도 있었다고 생각한다”라면서도 “그런 건 섣부른 추측을 갖고 어떻게 할 수는 없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만일 일정하게 일부 비리 부분을 노조 탈퇴를 위한 근거로 삼는 등 정치적 흥정을 위해서 활용했다면 매우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