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론 찬성 41%>반대 30%...44% "대통령 중임제 해햐한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김미현 소장은 6일 이명박 정부도 노무현 정부 때처럼 국민과의 소통을 잘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소통을 위해서는 대통령이 국민과 눈높이를 맞춰야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특히 이 대통령은 과거 자신의 성공 신화를 은연 중 자주 내세우기도 하는데 바로 이런 것 때문에 이런 오해가 나오는 것 같다”며 “말의 절제력과 함께 한마디를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이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감화적 언어를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김소장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개헌론과 관련, ‘개헌을 찬성한다’는 의견은 41.4%, ‘개헌을 반대한다’는 의견은 29.9%로 찬성 여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르겠다’는 의견은 28.7%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충청지역과 광주/전라지역에서는 개헌반대여론이 높았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찬성의견이 높았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지지자들이 개헌에 찬성을 한 반면, 민주당지지자들은 개헌반대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KSOI가 지난 20일 전국 19세이상 성인남여 1000명에게 ARS전화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한 결과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김 소장은 “지난번 대선과정에서 여야 후보들은 대체로 '다음 대통령 임기 중 개헌'에 동의하는 입장이었다”며 “지금 정치권에서는 개헌의 필요성이나 명분에 대해선 공감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개헌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는 수월히 진행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다”고 전망했다.
개헌논의에서 가장 큰 관심사인 권력구조의 문제와 관련, 여론은 내각책임제보다는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대통령제는 유지하되 ‘임기를 4년으로 하고 연임이 가능한 대통령 중임제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통령은 외교와 국방을, 총리는 국내정치를 나눠서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라는 의견이 26.5%였고, ‘국회 다수당이 국정지도자를 세워 국정을 책임지는 의원내각제’라는 의견이 13.1%로 조사됐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16.3%다.
또한 개헌에 찬성한다는 응답자의 57.1%가 대통령 4년 중임제라고 응답했으며, 25.8%가 분권형 대통령제를, 10.2%가 의원내각제를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대통령 4년 중임제라는 여론이 우세했으나, 민주당 우세 지역인 광주/전라지역에서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시기와 관련, ‘지금부터 논의해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로 결정해야한다’ 41.4%, '현 정권 임기 내에 논의를 마치고 2012년 대선 때 국민투표로 결정해야한다' 40.9%로 두 여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개각설과 관련, 친박인사의 기용문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이 여권 화합 차원에서 친박계 인사를 내각에 기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으나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실제 친박인사 기용을 ‘공감한다’ 47.8%, ’공감이 가지 않는다’ 32.7%, ‘잘 모르겠다’ 19.5%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김 소장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국민과의 소통 문제와 관련, Ksoi가 지난 28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즉 우리나라 20대 중 64.1%, 30대 중 53.9%, 40대중 44.9%, 50대 이상 중 32.3%가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 20, 30대층의 절반이상이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그냥 넘어갈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정보화 시대라는 특성에 맞춰 언론과 인터넷에 눈을 돌리고 귀를 기울여 세상사 돌아가는 현상과 흐름을 읽어 내는 노력은 정권 운영자들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소통이란 막힌 것을 뚫는 것이다’라는 말은 지극히 상식적인 이야기”라며 “그렇다면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도 국민과의 사이에 무엇이 막혀 있고, 어떻게 해야 이것이 뚫릴 수 있는지 그 해법부터 먼저 찾아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김미현 소장은 6일 이명박 정부도 노무현 정부 때처럼 국민과의 소통을 잘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소통을 위해서는 대통령이 국민과 눈높이를 맞춰야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특히 이 대통령은 과거 자신의 성공 신화를 은연 중 자주 내세우기도 하는데 바로 이런 것 때문에 이런 오해가 나오는 것 같다”며 “말의 절제력과 함께 한마디를 하더라도 국민 개개인이 공감대를 느낄 수 있는 감화적 언어를 사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김소장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개헌론과 관련, ‘개헌을 찬성한다’는 의견은 41.4%, ‘개헌을 반대한다’는 의견은 29.9%로 찬성 여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르겠다’는 의견은 28.7%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충청지역과 광주/전라지역에서는 개헌반대여론이 높았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찬성의견이 높았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지지자들이 개헌에 찬성을 한 반면, 민주당지지자들은 개헌반대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됐다.
KSOI가 지난 20일 전국 19세이상 성인남여 1000명에게 ARS전화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한 결과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김 소장은 “지난번 대선과정에서 여야 후보들은 대체로 '다음 대통령 임기 중 개헌'에 동의하는 입장이었다”며 “지금 정치권에서는 개헌의 필요성이나 명분에 대해선 공감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그는 “(개헌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는 수월히 진행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다”고 전망했다.
개헌논의에서 가장 큰 관심사인 권력구조의 문제와 관련, 여론은 내각책임제보다는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대통령제는 유지하되 ‘임기를 4년으로 하고 연임이 가능한 대통령 중임제를 해야한다’는 의견이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통령은 외교와 국방을, 총리는 국내정치를 나눠서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라는 의견이 26.5%였고, ‘국회 다수당이 국정지도자를 세워 국정을 책임지는 의원내각제’라는 의견이 13.1%로 조사됐다. 모르겠다는 응답은 16.3%다.
또한 개헌에 찬성한다는 응답자의 57.1%가 대통령 4년 중임제라고 응답했으며, 25.8%가 분권형 대통령제를, 10.2%가 의원내각제를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대통령 4년 중임제라는 여론이 우세했으나, 민주당 우세 지역인 광주/전라지역에서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헌시기와 관련, ‘지금부터 논의해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로 결정해야한다’ 41.4%, '현 정권 임기 내에 논의를 마치고 2012년 대선 때 국민투표로 결정해야한다' 40.9%로 두 여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개각설과 관련, 친박인사의 기용문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이 여권 화합 차원에서 친박계 인사를 내각에 기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으나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실제 친박인사 기용을 ‘공감한다’ 47.8%, ’공감이 가지 않는다’ 32.7%, ‘잘 모르겠다’ 19.5%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김 소장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국민과의 소통 문제와 관련, Ksoi가 지난 28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즉 우리나라 20대 중 64.1%, 30대 중 53.9%, 40대중 44.9%, 50대 이상 중 32.3%가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소장은 “우리나라 20, 30대층의 절반이상이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그냥 넘어갈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정보화 시대라는 특성에 맞춰 언론과 인터넷에 눈을 돌리고 귀를 기울여 세상사 돌아가는 현상과 흐름을 읽어 내는 노력은 정권 운영자들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소통이란 막힌 것을 뚫는 것이다’라는 말은 지극히 상식적인 이야기”라며 “그렇다면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도 국민과의 사이에 무엇이 막혀 있고, 어떻게 해야 이것이 뚫릴 수 있는지 그 해법부터 먼저 찾아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