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땅값이 4개월 연속 소폭 상승면서 오름세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7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지난 달 전국 땅값은 전월대비 0.21% 상승했다.
전국 땅값은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하다 4월부터 회복세로 돌아섰다. 4월에 전월대비 0.06% 상승한데 이어 5월 0.11%, 6월 0.16% 올라 7월까지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으며 상승세도 커졌다.
그러나 여전히 지가수준은 고점인 지난해 10월 대비 4.7% 하락한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별로는 서울(0.28%), 인천(0.31%), 경기(0.30%) 등 수도권이 전국평균(0.21%)보다 다소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지방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249개 시·군·구 중에서는 236개 지역이 상승한 반면 13개 지역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지역은 ▲경기 하남(0.904%) ▲경기 안산 단원구(0.685%) ▲경기 부천 소사구(0.552%) ▲경기 양평(0.505%) ▲충남 당진(0.492%) 등이다.
수도권 주요 지역은 ▲강남구(0.31%) ▲서초구(0.25%) ▲송파구(0.29%) ▲과천시(0.42%) ▲분당(0.16%) ▲평촌(0.22%) 등으로 집계됐다.
26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7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지난 달 전국 땅값은 전월대비 0.21% 상승했다.
전국 땅값은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하다 4월부터 회복세로 돌아섰다. 4월에 전월대비 0.06% 상승한데 이어 5월 0.11%, 6월 0.16% 올라 7월까지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으며 상승세도 커졌다.
그러나 여전히 지가수준은 고점인 지난해 10월 대비 4.7% 하락한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별로는 서울(0.28%), 인천(0.31%), 경기(0.30%) 등 수도권이 전국평균(0.21%)보다 다소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지방은 거의 변동이 없었다. 249개 시·군·구 중에서는 236개 지역이 상승한 반면 13개 지역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지역은 ▲경기 하남(0.904%) ▲경기 안산 단원구(0.685%) ▲경기 부천 소사구(0.552%) ▲경기 양평(0.505%) ▲충남 당진(0.492%) 등이다.
수도권 주요 지역은 ▲강남구(0.31%) ▲서초구(0.25%) ▲송파구(0.29%) ▲과천시(0.42%) ▲분당(0.16%) ▲평촌(0.22%) 등으로 집계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