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매가 변동률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강남권이 0.37% 올라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세가 상승이 집값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면서 재건축 단지를 비롯해 그동안 덜 올랐던 단지까지 상승세가 퍼져갔기 때문.
전반적으로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이 다가오면 상승세가 더 커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해 매도 호가만 연일 오르고 있다.
전세시장 오름세도 가파르다. 가을 이사철 수요가 미리 유입되는 등 전세수요는 많으나 물건 구하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서울에서 전셋집을 찾기 어렵자 서울과 가까운 경기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하남, 남양주, 구리 등이 큰 폭 상승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8월 21일부터 8월 27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주간 매매가 변동률은 0.1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강동구(0.58%), 송파구(0.48%), 서초구(0.27%), 강남구(0.27%) 등 강남권 아파트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밖에 강북구(0.22%), 도봉구(0.19%), 노원구(0.09%), 중구(0.08%), 은평구(0.07%), 서대문구(0.07%) 등이 뒤를 이었다.
강동구는 둔촌동 일대 재건축 단지 및 길동, 암사동 등 기존 아파트까지 가격이 올랐다. 재건축 상승세가 번진데다 집을 구하지 못한 전세입자가 매매로 돌아섰기 때문.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112㎡가 1천5백만원 오른 9억1천만~9억8천만원, 길동 삼익파크 105㎡가 3천만원 오른 5억4천만~5억6천만원이다.
송파구는 전세가 급등에 따른 매매가 상승 불안감이 매수세를 자극해 거래로 연결됐다. 가락동 가락시영, 잠실동 주공5단지 등 그동안 주춤했던 재건축 단지가 주로 오른 모습. 잠실동 주공5단지 119㎡가 4천만원 상승한 14억8천만~15억원이다.
이밖에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구간 수혜 단지인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등도 오름세를 보였다. 155㎡가 2천5백만원 상승한 16억~17억원.
서초구는 반포동, 잠원동 일대가 올랐다. 추가 상승 우려 탓에 매물이 나오면 바로 거래되는 모습. 잠원동 우성 158㎡가 7천5백만원 올라 13억5천만~14억5천만원으로 시세가 조정됐다.
또 우면동 일대 아파트도 뒤늦게 상승세에 가담했다. 주로 중소형 아파트가 올랐으며 우면동 동양고속 99㎡가 6천만원 상승한 6억~6억3천만원이다.
금주 경기 및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각각 0.08%, 0.04%며 인천은 0.05%다.
지역별로는 하남시(0.44%)가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구리시(0.24%), 안양시(0.14%), 성남시(0.14%), 평촌신도시(0.12%), 화성시(0.12%), 수원시(0.11%), 용인시(0.10%), 인천 부평구(0.10%), 양주시(0.08%), 광명시(0.08%), 남양주시(0.08%), 과천시(0.07%) 등이 올랐다.
하남시는 전세에서 매매로 선회한 수요가 늘어난 데다 인접한 강동구 아파트값이 연일 오름세를 보이자 덩달아 상승했다.
안양시는 비산동 일대가 올랐다. 평촌신도시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으로 수요는 꾸준한 반면 나와 있는 매물은 많지 않은 상태로, 매도자들이 호가를 높이면서 시세가 조정됐다.
인천 부평구는 부평구청역 주변 단지로 매수 문의가 많다. 2012년 개통예정인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기대감 때문.
특히 강남권이 0.37% 올라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세가 상승이 집값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면서 재건축 단지를 비롯해 그동안 덜 올랐던 단지까지 상승세가 퍼져갔기 때문.
전반적으로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이 다가오면 상승세가 더 커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팽배해 매도 호가만 연일 오르고 있다.
전세시장 오름세도 가파르다. 가을 이사철 수요가 미리 유입되는 등 전세수요는 많으나 물건 구하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서울에서 전셋집을 찾기 어렵자 서울과 가까운 경기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하남, 남양주, 구리 등이 큰 폭 상승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8월 21일부터 8월 27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주간 매매가 변동률은 0.1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강동구(0.58%), 송파구(0.48%), 서초구(0.27%), 강남구(0.27%) 등 강남권 아파트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밖에 강북구(0.22%), 도봉구(0.19%), 노원구(0.09%), 중구(0.08%), 은평구(0.07%), 서대문구(0.07%) 등이 뒤를 이었다.
강동구는 둔촌동 일대 재건축 단지 및 길동, 암사동 등 기존 아파트까지 가격이 올랐다. 재건축 상승세가 번진데다 집을 구하지 못한 전세입자가 매매로 돌아섰기 때문. 둔촌동 둔촌주공4단지 112㎡가 1천5백만원 오른 9억1천만~9억8천만원, 길동 삼익파크 105㎡가 3천만원 오른 5억4천만~5억6천만원이다.
송파구는 전세가 급등에 따른 매매가 상승 불안감이 매수세를 자극해 거래로 연결됐다. 가락동 가락시영, 잠실동 주공5단지 등 그동안 주춤했던 재건축 단지가 주로 오른 모습. 잠실동 주공5단지 119㎡가 4천만원 상승한 14억8천만~15억원이다.
이밖에 서울지하철 9호선 2단계구간 수혜 단지인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등도 오름세를 보였다. 155㎡가 2천5백만원 상승한 16억~17억원.
서초구는 반포동, 잠원동 일대가 올랐다. 추가 상승 우려 탓에 매물이 나오면 바로 거래되는 모습. 잠원동 우성 158㎡가 7천5백만원 올라 13억5천만~14억5천만원으로 시세가 조정됐다.
또 우면동 일대 아파트도 뒤늦게 상승세에 가담했다. 주로 중소형 아파트가 올랐으며 우면동 동양고속 99㎡가 6천만원 상승한 6억~6억3천만원이다.
금주 경기 및 신도시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각각 0.08%, 0.04%며 인천은 0.05%다.
지역별로는 하남시(0.44%)가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구리시(0.24%), 안양시(0.14%), 성남시(0.14%), 평촌신도시(0.12%), 화성시(0.12%), 수원시(0.11%), 용인시(0.10%), 인천 부평구(0.10%), 양주시(0.08%), 광명시(0.08%), 남양주시(0.08%), 과천시(0.07%) 등이 올랐다.
하남시는 전세에서 매매로 선회한 수요가 늘어난 데다 인접한 강동구 아파트값이 연일 오름세를 보이자 덩달아 상승했다.
안양시는 비산동 일대가 올랐다. 평촌신도시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으로 수요는 꾸준한 반면 나와 있는 매물은 많지 않은 상태로, 매도자들이 호가를 높이면서 시세가 조정됐다.
인천 부평구는 부평구청역 주변 단지로 매수 문의가 많다. 2012년 개통예정인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기대감 때문.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