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김양수 전 의원이 14일 불교방송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구시대적 유물인 전관예우는 들어봤지만 전직 예우는 금시초문”이라며 한나라당 공천 진행 과정에 대해 어이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오는 10월 실시되는 재보궐선거와 관련, 자신이 박희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경남 양산에서 공천경합을 벌이고 있는 사실에 대한 불만이다.
이날 김 전 의원은 “합당한 공천 기준을 어떻게 제시하면 승복할 수 있느냐”는 사회자의 물음에 “승복할 수밖에 없는 기준을 제시하면 된다. 선거법에도 나타난 것처럼 경선이다. 여론 조사는 승복할 수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후보선출이 당의 민주화의 첫걸음인데 공심위 위원들이 이러한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사실 김 전 의원의 이 같은 지적은 맞다.
당내 민주화의 척도는 절차의 공정성과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보고 가늠할 수 있는데, 한나라당의 공천 과정을 보면 민주화와는 거리가 먼 것 같다.
작년 18대 공천 당시, 한나라당은 ‘친이’ 세력이 주도하는 ‘친박 대학살’의 잘못된 공천으로 예상보다 많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당내 계파 갈등을 초래해 지금까지 홍역을 치르고 있다.
그 후에도 이런 문제가 개선되지 않아 4.29 재보선에서 또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보다 못해 ‘민본 21’ 등 당내 개혁 소장파 의원들이 나서서 공천의 투명성과 민주성을 강조하면서 당의 쇄신을 요구하고 나선 일까지 있었다.
그런데 개선되기는커녕, 이번에도 역시 같은 문제가 되풀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사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현재 당헌당규에 나와 있는 것처럼 경선을 실시하는 것이다.
지역 당원과 대의원들이 모여 합당한 후보를 선출하는 투표를 실시하든지, 아니면 가장 객관적인 여론조사 기관에 맡겨 누가 후보로 합당한지를 놓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면 된다.
그렇게 되면 패자도 결과에 승복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처럼 단순명료하고 명쾌한 방법이 또 어디 있겠는가.
그런데도 이 같은 손쉬운 길을 놔두고 엉뚱한 길을 모색하고 있으니, 정말 웃기는 노릇 아니겠는가.
실제 공심위에서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는다고 말은 하지만 내부적으론 이미 예우 차원에서 박 전 대표에게 공천을 주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일부 언론보도가 나왔다.
이쯤 되면 김 전 의원이 “한나라당이 아무리 법조인이 많다고 하기로서니 전관예우, 구시대적 유물인 전관예우는 들어봤지만 전직 예우는 금시초문”이라며 불만을 토로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한나라당 공심위원장인 장광근 사무총장은 최근 “과거의 인물, 지나간 인물은 의미가 없다. 또 이번 재선거는 지역에 뿌리를 내린 정치인이 나가는 게 옳다. 아무리 거물이라 하더라도 선거구를 여기저기 옮겨나가는 정치후보는 주민이 과연 납득할 수 있느냐”는 요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은 “저는 깜짝 놀랐어요. 어떻게 양산하고 딱 맞는지... (그런데)나중에 알고 보니 수원 장안이더라구요”라며 허탈하게 웃었다.
이 웃음의 의미는 무엇일까?
일정한 룰이 각 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지역에 따라 그때그때 룰이 달라지는 행태를 꼬집는 것은 아닐까?
특히 박희태 전 대표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친박계 의원들이 대거 모습을 나타낸 것에 대해 ‘박근혜 의중’이라는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번 10월 재보선에 어떤 형태로도 간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힌 바 있다.
그런 연장선에서 본다면, 박희태 전 대표가 ‘박심 후보’라는 해석은 지나친 해석이다.
원칙을 강조하는 박근혜 전 대표가 ‘전관예우 식 공천’에 동의할 리도 만무하다.
필자는 특정인을 지지하거나 폄하할 뜻은 전혀 없다.
다만 공당이라면 최소한 공천만큼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는 10월 재·보궐선거뿐만 아니라, 앞으로 있을 모든 선거과정에서 공천은 투명하고도 객관성 있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뜻이다.
필요하다면 ‘민본21’이 제기한 공천 배심원 제도를 두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만일 지금처럼 특정 세력이 공천을 좌지우지하도록 방치한다면, 지난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원내외 당협위원장들이 이른바 ‘대세론 후보’ 앞에 ‘우르르’ 달려 나아가 머리를 조아리던 한심한 작태가 되풀이 될지도 모른다.
물론 그런 모습을 보인다면, 한나라당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
오는 10월 실시되는 재보궐선거와 관련, 자신이 박희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경남 양산에서 공천경합을 벌이고 있는 사실에 대한 불만이다.
이날 김 전 의원은 “합당한 공천 기준을 어떻게 제시하면 승복할 수 있느냐”는 사회자의 물음에 “승복할 수밖에 없는 기준을 제시하면 된다. 선거법에도 나타난 것처럼 경선이다. 여론 조사는 승복할 수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후보선출이 당의 민주화의 첫걸음인데 공심위 위원들이 이러한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사실 김 전 의원의 이 같은 지적은 맞다.
당내 민주화의 척도는 절차의 공정성과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보고 가늠할 수 있는데, 한나라당의 공천 과정을 보면 민주화와는 거리가 먼 것 같다.
작년 18대 공천 당시, 한나라당은 ‘친이’ 세력이 주도하는 ‘친박 대학살’의 잘못된 공천으로 예상보다 많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당내 계파 갈등을 초래해 지금까지 홍역을 치르고 있다.
그 후에도 이런 문제가 개선되지 않아 4.29 재보선에서 또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보다 못해 ‘민본 21’ 등 당내 개혁 소장파 의원들이 나서서 공천의 투명성과 민주성을 강조하면서 당의 쇄신을 요구하고 나선 일까지 있었다.
그런데 개선되기는커녕, 이번에도 역시 같은 문제가 되풀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사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현재 당헌당규에 나와 있는 것처럼 경선을 실시하는 것이다.
지역 당원과 대의원들이 모여 합당한 후보를 선출하는 투표를 실시하든지, 아니면 가장 객관적인 여론조사 기관에 맡겨 누가 후보로 합당한지를 놓고 여론조사를 실시하면 된다.
그렇게 되면 패자도 결과에 승복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처럼 단순명료하고 명쾌한 방법이 또 어디 있겠는가.
그런데도 이 같은 손쉬운 길을 놔두고 엉뚱한 길을 모색하고 있으니, 정말 웃기는 노릇 아니겠는가.
실제 공심위에서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는다고 말은 하지만 내부적으론 이미 예우 차원에서 박 전 대표에게 공천을 주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일부 언론보도가 나왔다.
이쯤 되면 김 전 의원이 “한나라당이 아무리 법조인이 많다고 하기로서니 전관예우, 구시대적 유물인 전관예우는 들어봤지만 전직 예우는 금시초문”이라며 불만을 토로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한나라당 공심위원장인 장광근 사무총장은 최근 “과거의 인물, 지나간 인물은 의미가 없다. 또 이번 재선거는 지역에 뿌리를 내린 정치인이 나가는 게 옳다. 아무리 거물이라 하더라도 선거구를 여기저기 옮겨나가는 정치후보는 주민이 과연 납득할 수 있느냐”는 요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의원은 “저는 깜짝 놀랐어요. 어떻게 양산하고 딱 맞는지... (그런데)나중에 알고 보니 수원 장안이더라구요”라며 허탈하게 웃었다.
이 웃음의 의미는 무엇일까?
일정한 룰이 각 지역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 않고, 지역에 따라 그때그때 룰이 달라지는 행태를 꼬집는 것은 아닐까?
특히 박희태 전 대표의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친박계 의원들이 대거 모습을 나타낸 것에 대해 ‘박근혜 의중’이라는 해석은 잘못된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번 10월 재보선에 어떤 형태로도 간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힌 바 있다.
그런 연장선에서 본다면, 박희태 전 대표가 ‘박심 후보’라는 해석은 지나친 해석이다.
원칙을 강조하는 박근혜 전 대표가 ‘전관예우 식 공천’에 동의할 리도 만무하다.
필자는 특정인을 지지하거나 폄하할 뜻은 전혀 없다.
다만 공당이라면 최소한 공천만큼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오는 10월 재·보궐선거뿐만 아니라, 앞으로 있을 모든 선거과정에서 공천은 투명하고도 객관성 있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뜻이다.
필요하다면 ‘민본21’이 제기한 공천 배심원 제도를 두는 것도 고려할만 하다.
만일 지금처럼 특정 세력이 공천을 좌지우지하도록 방치한다면, 지난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원내외 당협위원장들이 이른바 ‘대세론 후보’ 앞에 ‘우르르’ 달려 나아가 머리를 조아리던 한심한 작태가 되풀이 될지도 모른다.
물론 그런 모습을 보인다면, 한나라당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