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한나라당 당헌당규가 바뀌어 이명박 대통령이 당 총재가 된 줄 알았다.
정몽준 대표가 2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세종시와 관련한 당내 기구 설치의 필요성을 전달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실제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2일) 청와대 조찬 회동에서 세종시는 충청도민들에게 충청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장기적으로는 국가 발전에 부합되는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이 대통령에게 전했다"고 자신의 입으로 밝혔다.
그러자 이 대통령은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으니 당에서도 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고 한다.
참으로 가관이다. 이쯤 되면 누가 당의 대표이고 당원인지 헷갈릴 정도 아닌가.
정몽준 대표는 그동안 수차에 걸쳐 한나라당 당론은 “원안 추진”이라고 밝혔었다.
실제 그는 지난 달 15일 세종시 문제와 관련, “세종시 정식명칭이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돼 있다. 문자 그대로 취지를 잘 생각하고 있다”면서 “원안 추진이라는 당론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정 대표는 지난 9월 30일 SBS 라디오 'SBS 이승열의 전망대'에 출연, "정운찬 총리 청문회 과정에서 세종시 문제가 많은 분들에게 관심사항이 됐고 염려와 심려를 끼치게 돼서 송구스럽게 생각을 한다"며 "한나라당은 가능한 우리가 말씀드린 약속을 지키면서 원래의 취지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세종시 법을 원안대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 아직도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정 대표는 "그렇다"라고 답변했다.
세종시법 원안 처리 입장을 거듭 확인시켜준 것이다.
그런데 그동안 당론이 바뀐 것도 아니고, 이에 대해 당에서 공식적으로 논의한 일도 없는데 느닷없이 당내에 세종시 논의기구를 설치한다니 어찌된 노릇인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한나라당 당론이 ‘원안 추진’이라면, 굳이 이 문제에 대해 당내에 별도의 논의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설사 정부가 수정안을 제출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당론과 배치된다면 논의할 필요조차 없이 수정안을 ‘보이콧’ 하면 그만이다.
따라서 당내에 논의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것은 그동안 정 대표가 공개적으로 밝혔던 ‘원안 추진’이 아니라, ‘수정할 의사가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결국 정 대표가 국민들 앞에서 또 한 번 거짓말을 한 셈이다.
왜 그랬을까?
이날 이 대통령은 정몽준 대표에게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으니 당에서도 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의 지시인 셈이다. 즉 세종시 문제에 대해 수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논의를 하라는 주문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아무리 대통령이라고 하지만 그는 당무에 관여 할 수 없는 일개 수석 당원에 불과하다. 당무에 관한한 당 대표에게 이래라 저래라 말할 권한도 없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 앞에 가서 “당내에 논의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미리 알아서 ‘설설’ 기는 당 대표나, 당 대표에게 “잘 논의하라”고 사실상 지시에 가까운 당부를 하는 대통령의 모습은 그리 보기 좋은 모습은 아니다.
사실 이 문제에 관한 해답은 이미 나와 있다. 한나라당 당론은 원안 추진이다.
반면 이명박 정부의 입장은 원안 수정이다. 그렇다면 당론에 배치되는 주장을 하는 이명박 대통령이 당을 떠나는 게 맞다.
특히 당직을 유지하면서 당론과 반대되는 일을 추진하는 건 해당행위다. 따라서 그가 자진탈당하지 않을 경우 당에서 그를 출당조치해도 무방하다.
국회의원들이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출당논의를 못한다면, 당원들과 대의원들이 나서서라도 ‘MB 출당’을 결의해야 하지 않겠는가.
어쩌면 그런 선택이 지금 국민들 사이에 팽배해 있는 ‘반(反)MB’ 정서로 인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줄줄이 낙마하는 불행한 사태를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친박 핵심인 이성헌 사무부총장이 "세종시 문제를 놓고 단 한 번도 공개적 토론이 없었던 상황에서, 당론 변경을 추진한다는 얘기가 당 안팎에서 기정사실화된 것처럼 떠돌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당직을 던져 버리고 말았다.
이건 아니다. 지금 당직을 버리고, 당을 떠나야 할 사람들은 이 의원처럼 당론을 따르는 사람들이 아니라, 당론과 배치되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다.
어쩌면 세종시 문제가 ‘MB 정당’의 탄생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정몽준 대표가 2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세종시와 관련한 당내 기구 설치의 필요성을 전달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실제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2일) 청와대 조찬 회동에서 세종시는 충청도민들에게 충청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을 연구하면서 장기적으로는 국가 발전에 부합되는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이 대통령에게 전했다"고 자신의 입으로 밝혔다.
그러자 이 대통령은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으니 당에서도 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고 한다.
참으로 가관이다. 이쯤 되면 누가 당의 대표이고 당원인지 헷갈릴 정도 아닌가.
정몽준 대표는 그동안 수차에 걸쳐 한나라당 당론은 “원안 추진”이라고 밝혔었다.
실제 그는 지난 달 15일 세종시 문제와 관련, “세종시 정식명칭이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돼 있다. 문자 그대로 취지를 잘 생각하고 있다”면서 “원안 추진이라는 당론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정 대표는 지난 9월 30일 SBS 라디오 'SBS 이승열의 전망대'에 출연, "정운찬 총리 청문회 과정에서 세종시 문제가 많은 분들에게 관심사항이 됐고 염려와 심려를 끼치게 돼서 송구스럽게 생각을 한다"며 "한나라당은 가능한 우리가 말씀드린 약속을 지키면서 원래의 취지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세종시 법을 원안대로 처리하겠다는 입장이 아직도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정 대표는 "그렇다"라고 답변했다.
세종시법 원안 처리 입장을 거듭 확인시켜준 것이다.
그런데 그동안 당론이 바뀐 것도 아니고, 이에 대해 당에서 공식적으로 논의한 일도 없는데 느닷없이 당내에 세종시 논의기구를 설치한다니 어찌된 노릇인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한나라당 당론이 ‘원안 추진’이라면, 굳이 이 문제에 대해 당내에 별도의 논의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설사 정부가 수정안을 제출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당론과 배치된다면 논의할 필요조차 없이 수정안을 ‘보이콧’ 하면 그만이다.
따라서 당내에 논의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것은 그동안 정 대표가 공개적으로 밝혔던 ‘원안 추진’이 아니라, ‘수정할 의사가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결국 정 대표가 국민들 앞에서 또 한 번 거짓말을 한 셈이다.
왜 그랬을까?
이날 이 대통령은 정몽준 대표에게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으니 당에서도 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의 지시인 셈이다. 즉 세종시 문제에 대해 수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논의를 하라는 주문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아무리 대통령이라고 하지만 그는 당무에 관여 할 수 없는 일개 수석 당원에 불과하다. 당무에 관한한 당 대표에게 이래라 저래라 말할 권한도 없는 사람이다.
그런 사람 앞에 가서 “당내에 논의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미리 알아서 ‘설설’ 기는 당 대표나, 당 대표에게 “잘 논의하라”고 사실상 지시에 가까운 당부를 하는 대통령의 모습은 그리 보기 좋은 모습은 아니다.
사실 이 문제에 관한 해답은 이미 나와 있다. 한나라당 당론은 원안 추진이다.
반면 이명박 정부의 입장은 원안 수정이다. 그렇다면 당론에 배치되는 주장을 하는 이명박 대통령이 당을 떠나는 게 맞다.
특히 당직을 유지하면서 당론과 반대되는 일을 추진하는 건 해당행위다. 따라서 그가 자진탈당하지 않을 경우 당에서 그를 출당조치해도 무방하다.
국회의원들이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출당논의를 못한다면, 당원들과 대의원들이 나서서라도 ‘MB 출당’을 결의해야 하지 않겠는가.
어쩌면 그런 선택이 지금 국민들 사이에 팽배해 있는 ‘반(反)MB’ 정서로 인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줄줄이 낙마하는 불행한 사태를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친박 핵심인 이성헌 사무부총장이 "세종시 문제를 놓고 단 한 번도 공개적 토론이 없었던 상황에서, 당론 변경을 추진한다는 얘기가 당 안팎에서 기정사실화된 것처럼 떠돌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당직을 던져 버리고 말았다.
이건 아니다. 지금 당직을 버리고, 당을 떠나야 할 사람들은 이 의원처럼 당론을 따르는 사람들이 아니라, 당론과 배치되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다.
어쩌면 세종시 문제가 ‘MB 정당’의 탄생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