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물론 청와대까지 가세한 이른바 당.정.청이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기 위해 ‘똘똘’ 뭉쳤다.
실제 지난 8일 저녁 삼청동 총리공관에서는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와 정운찬 총리, 정정길 대통령실장, 주호영 특임장관 등 당.정.청 수뇌부 7인이 은밀하게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이날 모임은 ‘정치 신뢰’ 문제를 거론하면서 ‘원안+알파’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고립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마디로 당정청이 하나가 되어 박근혜 전 대표를 여권 내에서 ‘왕따’시키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아니나 다를까.
당.정.청 수뇌부 7인의 비공개 회동에서 이들은 세종시 수정안을 조기에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당정청은 대정부질문이 끝나는 대로 준비 과정을 거쳐 금주 말 또는 내주 초 고위 당.정.청 협의회를 열 계획이라고 한다.
물론 당정청 협의회의 주요 의제는 세종시 수정안의 조기 마련과 향후 대응방안이 될 것이다.
이미 정부는 이번주 중 정 총리가 중심이 된 `민관합동위원회'를 구성키로 결정했으며, 이에 발맞춰 당에서도 역시 이번주 내에 `세종시 여론수렴 특위(위원장 정의화)'를 발족할 예정이다.
특히 정두언.정태근.권택기 의원 등 친이(친이명박) 의원들은 세종시 수정안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잇단 모임을 갖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적극적이다.
실제 청와대 측은 최근 "대통령이 숨는다 피한다 얘기들이 있고 야당에서도 지적하고 있는데, 추호도 청와대가 숨거나 할 생각은 없다"면서 강한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명박 대통령 역시 지난 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와 가진 조찬 회동에서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원안 그대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물론 이런 논의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는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
한마디로 ‘박근혜 고사(枯死) 전략’을 펴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세종시 문제는 처음부터 박 전 대표를 겨냥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여론이 만일 이명박 대통령의 손을 들어줄 경우, 박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론'에 동의하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지금처럼 반대 입장을 고수하기도 어려운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정청이 하나로 ‘똘똘’ 뭉쳐 세종시 문제를 내년 1월까지 해결하겠다며, 두 달의 시간을 번 것은 사실은 그 시간 내에 여론을 자신들의 편으로 되돌려놓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을 것이다.
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여론은 벌써 이 대통령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지난 한달 새 무려 13.5%포인트나 폭락한 것이 그 방증이다.
실제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R&R)>가 지난 3일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법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 달 보다 13.5%포인트나 빠진 40.8%로 조사됐다.
또 국민의 다수는 세종시를 원안대로 건설하거나 확대 보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원안과 원안+알파를 지지하는 응답자는 57.8%인 반면, 원안을 수정하자는 주장에 동조한 응답자는 35.7%에 불과했다.
여론은 박근혜 전 대표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즉 당정청이 끝까지 ‘박근혜 왕따 전략’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명박’이나 ‘정몽준’이라는 간판으로 과연 한나라당이 승리 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이미 각종 재보궐선거 결과가 증명하듯이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런 상태라면 한나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완패할 수밖에 없다.
이 점이 박근혜 전 대표에게도 고민이다.
지방정부가 모두 야당에게 넘어가면, 2012년 대통령 선거가 어려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과연 박 전 대표는 어떤 선택을 할까?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물론 청와대까지 가세한 이른바 당.정.청이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기 위해 ‘똘똘’ 뭉쳤다.
실제 지난 8일 저녁 삼청동 총리공관에서는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와 정운찬 총리, 정정길 대통령실장, 주호영 특임장관 등 당.정.청 수뇌부 7인이 은밀하게 비공개 회동을 가졌다.
이날 모임은 ‘정치 신뢰’ 문제를 거론하면서 ‘원안+알파’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고립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마디로 당정청이 하나가 되어 박근혜 전 대표를 여권 내에서 ‘왕따’시키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아니나 다를까.
당.정.청 수뇌부 7인의 비공개 회동에서 이들은 세종시 수정안을 조기에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당정청은 대정부질문이 끝나는 대로 준비 과정을 거쳐 금주 말 또는 내주 초 고위 당.정.청 협의회를 열 계획이라고 한다.
물론 당정청 협의회의 주요 의제는 세종시 수정안의 조기 마련과 향후 대응방안이 될 것이다.
이미 정부는 이번주 중 정 총리가 중심이 된 `민관합동위원회'를 구성키로 결정했으며, 이에 발맞춰 당에서도 역시 이번주 내에 `세종시 여론수렴 특위(위원장 정의화)'를 발족할 예정이다.
특히 정두언.정태근.권택기 의원 등 친이(친이명박) 의원들은 세종시 수정안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잇단 모임을 갖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적극적이다.
실제 청와대 측은 최근 "대통령이 숨는다 피한다 얘기들이 있고 야당에서도 지적하고 있는데, 추호도 청와대가 숨거나 할 생각은 없다"면서 강한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명박 대통령 역시 지난 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와 가진 조찬 회동에서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세종시는 충분히 숙고해서 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원안 그대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물론 이런 논의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는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
한마디로 ‘박근혜 고사(枯死) 전략’을 펴고 있는 것이다.
어쩌면 세종시 문제는 처음부터 박 전 대표를 겨냥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여론이 만일 이명박 대통령의 손을 들어줄 경우, 박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론'에 동의하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지금처럼 반대 입장을 고수하기도 어려운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정청이 하나로 ‘똘똘’ 뭉쳐 세종시 문제를 내년 1월까지 해결하겠다며, 두 달의 시간을 번 것은 사실은 그 시간 내에 여론을 자신들의 편으로 되돌려놓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을 것이다.
하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여론은 벌써 이 대통령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지난 한달 새 무려 13.5%포인트나 폭락한 것이 그 방증이다.
실제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R&R)>가 지난 3일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법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 달 보다 13.5%포인트나 빠진 40.8%로 조사됐다.
또 국민의 다수는 세종시를 원안대로 건설하거나 확대 보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원안과 원안+알파를 지지하는 응답자는 57.8%인 반면, 원안을 수정하자는 주장에 동조한 응답자는 35.7%에 불과했다.
여론은 박근혜 전 대표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즉 당정청이 끝까지 ‘박근혜 왕따 전략’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명박’이나 ‘정몽준’이라는 간판으로 과연 한나라당이 승리 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이미 각종 재보궐선거 결과가 증명하듯이 그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이런 상태라면 한나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완패할 수밖에 없다.
이 점이 박근혜 전 대표에게도 고민이다.
지방정부가 모두 야당에게 넘어가면, 2012년 대통령 선거가 어려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과연 박 전 대표는 어떤 선택을 할까?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