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 하 승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이 밀어붙이고 있는 미디어 관련법이 ‘조중동 눈치 보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조중동에 퍼주기’라는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우선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이 대표의원으로 있는 국회언론발전연구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상파 채널을 주변 번호로 옮기고 그 자리에 종합편성채널(종편)을 배치하자’는 어이없는 주장이 나왔다.
실제 지난 14일 국회언론발전연구회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종편 관련 토론회에서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언론정보학부)는 “지상파방송의 채널번호를 주변부로 돌려 기득권을 없애야 한다”며 “지상파방송 4개 채널을 3번, 15번 등 주변 번호로 옮겨 낮은 채널대의 활용도를 넓히고, 그 사이사이에 종편채널과 홈쇼핑채널을 배치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신규 홈쇼핑채널과 연번제를 도입해 종편에 좋은 채널을 배정할 것이란 소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케이블 TV를 시청하는 사람이라면 채널 번호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다.
공중파 방송 사이사이에 있는 채널은 한마디로 ‘노다지’다. 그 노다지를 종편, 즉 조중동이 만들려고 하는 방송에 특혜로 주어야 한다니 참으로 기가 막힐 노릇 아니겠는가.
기존 다른 케이블 방송들 가운데는 수십번대의 번호로 밀려나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곳도 수두룩한 데, 왜 종편에만 특혜를 주어야 하는가.
조중동이 만들려고 하는 방송이기 때문인가?
종편 특혜 주장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날 박 교수는 종편을 위한 광고지원 방안도 내놓았다.
수신료를 인상해 한국방송 광고를 종편 등의 광고 수입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
또 현재 방송광고가 금지된 17도 이상의 주류 및 전문의약품의 광고 규제까지 몽땅 풀어서 광고 공급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물론 종편을 의식한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종편을 추진하고 있는 족벌언론들이 이 같은 박 교수의 주장을 대서특필하고 나섰다.
즉 한나라당 의원이 대표의원으로 있는 단체에서 지난 대선 때 이명박 캠프에서 언론 분야 정책자문역으로 활동한 인사가 ‘조중동 퍼주기’ 발언을 하고, 조중동이 이를 대서특필하고 나선 것이다.
이쯤 되면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지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물론 박 교수는 “신문사의 요구를 받은 적은 없다”며 “학자로서 미디어산업에 대한 소신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뭔가 꺼림칙하다.
종편 방송이 탄생할 즈음에 갑작스럽게 방송광고가 금지된 것들을 모두 풀라는 주장도 이상하거니와 한국방송 광고를 종편 등의 광고수입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상하지 않는가.
더구나 종편 채널 번호까지 공중파 방송 사이사이에 끼어 넣어서 공중파 방송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도록 특혜를 주려는 것도 ‘정상’과는 한참 거리가 먼 ‘비정상’ 아니겠는가.
이로써 한나라당이 종편을 허가하기 위해서 지난 7월 22일 헌법 재판소에서도 위법 과정이라고 판명된, 방송법을 날치기 처리한 본색과 본심이 백일하에 드러나고 말았다.
종편, 즉 ‘조중동 눈치 보기’로도 모자라 아예 ‘조중동에 퍼주어야 한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정부 여당과 그 하수인들을 보면, 과연 그들은 ‘국민’의 존재를 의식이나 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혹시 국민들은 그저 조중동이 써 주는 보도를 그대로 믿는 ‘어리석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면 큰 오산이다.
국민들은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 그들의 논조를 조목조목 비판할 수 있을 만큼 매우 성숙해 있다. 실제 <시민일보>와 같은 정론을 펼치는 언론들이 인터넷 상에서 유권자들로부터 적극 환영받고 있지 않는가.
이제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묻겠다.
다음 총선에서 그대들이 또 당선되기를 바라는가?
그렇다면 누가 유권자인지 헤아려 보라. 제 아무리 조중동이 그대들을 과장 선전해 주더라도 결국 투표장에 가서 주권을 행사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조중동 종사자들이 아니라 바로 국민들이다.
선택은 그대들의 몫이다.
조중동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가 국민들로부터 버림을 받든지, 비록 조중동에 밉보이더라도 국민들의 사랑을 받든지, 어느 쪽을 택하겠는가.
분명한 것은 금배지를 다시 달고 싶다면, 조중동보다 국민을 우선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이 밀어붙이고 있는 미디어 관련법이 ‘조중동 눈치 보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조중동에 퍼주기’라는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우선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이 대표의원으로 있는 국회언론발전연구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지상파 채널을 주변 번호로 옮기고 그 자리에 종합편성채널(종편)을 배치하자’는 어이없는 주장이 나왔다.
실제 지난 14일 국회언론발전연구회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종편 관련 토론회에서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언론정보학부)는 “지상파방송의 채널번호를 주변부로 돌려 기득권을 없애야 한다”며 “지상파방송 4개 채널을 3번, 15번 등 주변 번호로 옮겨 낮은 채널대의 활용도를 넓히고, 그 사이사이에 종편채널과 홈쇼핑채널을 배치해 상호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신규 홈쇼핑채널과 연번제를 도입해 종편에 좋은 채널을 배정할 것이란 소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케이블 TV를 시청하는 사람이라면 채널 번호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다.
공중파 방송 사이사이에 있는 채널은 한마디로 ‘노다지’다. 그 노다지를 종편, 즉 조중동이 만들려고 하는 방송에 특혜로 주어야 한다니 참으로 기가 막힐 노릇 아니겠는가.
기존 다른 케이블 방송들 가운데는 수십번대의 번호로 밀려나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곳도 수두룩한 데, 왜 종편에만 특혜를 주어야 하는가.
조중동이 만들려고 하는 방송이기 때문인가?
종편 특혜 주장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날 박 교수는 종편을 위한 광고지원 방안도 내놓았다.
수신료를 인상해 한국방송 광고를 종편 등의 광고 수입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
또 현재 방송광고가 금지된 17도 이상의 주류 및 전문의약품의 광고 규제까지 몽땅 풀어서 광고 공급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물론 종편을 의식한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종편을 추진하고 있는 족벌언론들이 이 같은 박 교수의 주장을 대서특필하고 나섰다.
즉 한나라당 의원이 대표의원으로 있는 단체에서 지난 대선 때 이명박 캠프에서 언론 분야 정책자문역으로 활동한 인사가 ‘조중동 퍼주기’ 발언을 하고, 조중동이 이를 대서특필하고 나선 것이다.
이쯤 되면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지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물론 박 교수는 “신문사의 요구를 받은 적은 없다”며 “학자로서 미디어산업에 대한 소신을 밝힌 것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뭔가 꺼림칙하다.
종편 방송이 탄생할 즈음에 갑작스럽게 방송광고가 금지된 것들을 모두 풀라는 주장도 이상하거니와 한국방송 광고를 종편 등의 광고수입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상하지 않는가.
더구나 종편 채널 번호까지 공중파 방송 사이사이에 끼어 넣어서 공중파 방송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보도록 특혜를 주려는 것도 ‘정상’과는 한참 거리가 먼 ‘비정상’ 아니겠는가.
이로써 한나라당이 종편을 허가하기 위해서 지난 7월 22일 헌법 재판소에서도 위법 과정이라고 판명된, 방송법을 날치기 처리한 본색과 본심이 백일하에 드러나고 말았다.
종편, 즉 ‘조중동 눈치 보기’로도 모자라 아예 ‘조중동에 퍼주어야 한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정부 여당과 그 하수인들을 보면, 과연 그들은 ‘국민’의 존재를 의식이나 하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혹시 국민들은 그저 조중동이 써 주는 보도를 그대로 믿는 ‘어리석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면 큰 오산이다.
국민들은 그렇게 어리석지 않다. 그들의 논조를 조목조목 비판할 수 있을 만큼 매우 성숙해 있다. 실제 <시민일보>와 같은 정론을 펼치는 언론들이 인터넷 상에서 유권자들로부터 적극 환영받고 있지 않는가.
이제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묻겠다.
다음 총선에서 그대들이 또 당선되기를 바라는가?
그렇다면 누가 유권자인지 헤아려 보라. 제 아무리 조중동이 그대들을 과장 선전해 주더라도 결국 투표장에 가서 주권을 행사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조중동 종사자들이 아니라 바로 국민들이다.
선택은 그대들의 몫이다.
조중동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가 국민들로부터 버림을 받든지, 비록 조중동에 밉보이더라도 국민들의 사랑을 받든지, 어느 쪽을 택하겠는가.
분명한 것은 금배지를 다시 달고 싶다면, 조중동보다 국민을 우선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