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세종시 문제의 키를 쥐고 있다.
즉 지난 11일 발표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의 운명은 전적으로 박 전 대표의 손에 달렸다는 말이다.
이명박 정부 역시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실제 <한겨레>가 지난 13일 '세종시 현안 홍보전략'이라는 문건을 입수했다. 이 문건은 국무총리실이 한 홍보기획사에 의뢰해 지난 6일 작성된 것이라고 한다.
문건은 박 전 대표를 그의 영어 이니셜을 따 '피 팩터'(P Factor)로 명기하면서 ‘세종시 수정안의 운명은 박 전 대표가 11일 정부 발표 뒤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피 팩터, 즉 박 전 대표가 정부 수정안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내지 못하도록 하는 온갖 방안을 제시했다.
그런데 그게 참 가관이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먼저 "우호적 논조의 청와대 출입기자 등을 활용해 '특정 정치지도자의 발표 직후 여론개입'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하는 기자칼럼을 게재"하는 사전 홍보전략을 정부에 제시했다.
즉 정부에 우호적인 어용기자들을 활용해 사전에 ‘박근혜 입막음’을 시키라는 조언인 셈이다.
문건은 특히 '원안 수용'이라는 굴욕적 상황으로 몰릴 경우, 조기 레임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명박 정부는 수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그 방안 중 하나로 문건은 친박계의 포용을 주문하고 있다.
하지만 틀렸다.
박 전 대표에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 기자들을 활용하라는 조언도 가당치 않거니와, 이 문제를 단순히 ‘친박 포용’이라는 술수로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대단히 잘못됐다는 말이다.
방법은 오직 하나 뿐이다.
국민들에게 무엇이 옳고 그른지 사실대로 알리고 국민으로부터 그 결과에 대해 심판을 받아야 한다.
박 전 대표가 주장한 ‘원안+알파’가 맞는지, 아니면 ‘원안 백지화 +알파’가 맞는지 정직하게 국민들에게 묻고, 국민의 뜻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을 보면, 정부의 태도는 ‘정도’와 거리가 먼 것 같다.
어쩌면 문건의 조언을 받아 들여 이미 어용기자들을 움직이도록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실제 어느 친이(親李,친 이명박) 언론은 정부안을 ‘수정안’이라고 표기하지 않고 ‘신안(新案)’이라고 표기하는 것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이는 ‘원안’ 혹은 ‘원안 + 알파안’이 마치 ‘구안(舊案)’인 것처럼 비춰지도록 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즉 ‘옛것’과 ‘새것’이라는 뉘앙스를 풍겨 수정안을 찬성하도록 유도하는 잘못된 표기라는 말이다.
문제는 어느 특정 언론사만 그런 식으로 보도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다른 언론사들 역시 알게 모르게 살아 있는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정부쪽에 유리한 기사를 내보내기 일쑤다.
박 전 대표를 향한 일종의 압력이다. 정부는 이런 압력에 못 이겨 박 전 대표가 결국 자신의 뜻을 굽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림도 없다.
박근혜 전 대표가 세종시 원안 고수 입장을 굽히지 않으리라는 것은 어느 정도 예상했었지만 수정안 반대의 강도는 예상보다 훨씬 셌다.
실제 그는 정부의 수정안 발표 나흘 전인 7일 '원안이 배제된 수정안에도 반대, 수정안을 바탕으로 한 당론에도 반대'라고 못박았는가 하면, 수정안 발표 다음날인 12일엔 "제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원안 고수’입장을 밝혔다.
심지어 충청권 여론이 변해도 유(U)턴할 가능성이 없음을 강조하면서 '퇴로'를 스스로 없앴다.
어떤 경우에도, 즉 정부의 압력이나 어용언론의 압력에도 굴복하지 않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박 전대표가 이처럼 단호한 입장을 보이는 것은 정부 수정안이 그의 지론인 ‘화합’과 정면으로 위배되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의 정책 근간은 ‘화합’이다. 그는 지역균형 발전 문제 역시 각 지역간 '이해의 절충', 즉 지역의 화합 차원에서 보고 있다. 따라서 지역 군형발전이라는 화합을 깨트리는 수정안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박 전 대표가 수정안의 키를 쥐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 열쇄가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점에서 ‘친박 포용’이라는 술책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
따라서 정부가 지역 간 불화와 갈등을 조장하는 수정안을 스스로 용도 폐기하지 않는 한 결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할 것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그나저나 현 정부 하에서 언론들이 얼마나 비굴했으면, 기자들을 정부 홍보에 활용하려고 하는지, 같은 언론인으로서 정말 씁쓸하기 그지없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세종시 문제의 키를 쥐고 있다.
즉 지난 11일 발표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의 운명은 전적으로 박 전 대표의 손에 달렸다는 말이다.
이명박 정부 역시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실제 <한겨레>가 지난 13일 '세종시 현안 홍보전략'이라는 문건을 입수했다. 이 문건은 국무총리실이 한 홍보기획사에 의뢰해 지난 6일 작성된 것이라고 한다.
문건은 박 전 대표를 그의 영어 이니셜을 따 '피 팩터'(P Factor)로 명기하면서 ‘세종시 수정안의 운명은 박 전 대표가 11일 정부 발표 뒤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피 팩터, 즉 박 전 대표가 정부 수정안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내지 못하도록 하는 온갖 방안을 제시했다.
그런데 그게 참 가관이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먼저 "우호적 논조의 청와대 출입기자 등을 활용해 '특정 정치지도자의 발표 직후 여론개입'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지적하는 기자칼럼을 게재"하는 사전 홍보전략을 정부에 제시했다.
즉 정부에 우호적인 어용기자들을 활용해 사전에 ‘박근혜 입막음’을 시키라는 조언인 셈이다.
문건은 특히 '원안 수용'이라는 굴욕적 상황으로 몰릴 경우, 조기 레임덕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명박 정부는 수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그 방안 중 하나로 문건은 친박계의 포용을 주문하고 있다.
하지만 틀렸다.
박 전 대표에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 기자들을 활용하라는 조언도 가당치 않거니와, 이 문제를 단순히 ‘친박 포용’이라는 술수로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대단히 잘못됐다는 말이다.
방법은 오직 하나 뿐이다.
국민들에게 무엇이 옳고 그른지 사실대로 알리고 국민으로부터 그 결과에 대해 심판을 받아야 한다.
박 전 대표가 주장한 ‘원안+알파’가 맞는지, 아니면 ‘원안 백지화 +알파’가 맞는지 정직하게 국민들에게 묻고, 국민의 뜻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을 보면, 정부의 태도는 ‘정도’와 거리가 먼 것 같다.
어쩌면 문건의 조언을 받아 들여 이미 어용기자들을 움직이도록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실제 어느 친이(親李,친 이명박) 언론은 정부안을 ‘수정안’이라고 표기하지 않고 ‘신안(新案)’이라고 표기하는 것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이는 ‘원안’ 혹은 ‘원안 + 알파안’이 마치 ‘구안(舊案)’인 것처럼 비춰지도록 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즉 ‘옛것’과 ‘새것’이라는 뉘앙스를 풍겨 수정안을 찬성하도록 유도하는 잘못된 표기라는 말이다.
문제는 어느 특정 언론사만 그런 식으로 보도하고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다른 언론사들 역시 알게 모르게 살아 있는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정부쪽에 유리한 기사를 내보내기 일쑤다.
박 전 대표를 향한 일종의 압력이다. 정부는 이런 압력에 못 이겨 박 전 대표가 결국 자신의 뜻을 굽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어림도 없다.
박근혜 전 대표가 세종시 원안 고수 입장을 굽히지 않으리라는 것은 어느 정도 예상했었지만 수정안 반대의 강도는 예상보다 훨씬 셌다.
실제 그는 정부의 수정안 발표 나흘 전인 7일 '원안이 배제된 수정안에도 반대, 수정안을 바탕으로 한 당론에도 반대'라고 못박았는가 하면, 수정안 발표 다음날인 12일엔 "제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원안 고수’입장을 밝혔다.
심지어 충청권 여론이 변해도 유(U)턴할 가능성이 없음을 강조하면서 '퇴로'를 스스로 없앴다.
어떤 경우에도, 즉 정부의 압력이나 어용언론의 압력에도 굴복하지 않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박 전대표가 이처럼 단호한 입장을 보이는 것은 정부 수정안이 그의 지론인 ‘화합’과 정면으로 위배되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의 정책 근간은 ‘화합’이다. 그는 지역균형 발전 문제 역시 각 지역간 '이해의 절충', 즉 지역의 화합 차원에서 보고 있다. 따라서 지역 군형발전이라는 화합을 깨트리는 수정안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박 전 대표가 수정안의 키를 쥐고 있는 것은 맞지만, 그 열쇄가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점에서 ‘친박 포용’이라는 술책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
따라서 정부가 지역 간 불화와 갈등을 조장하는 수정안을 스스로 용도 폐기하지 않는 한 결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할 것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그나저나 현 정부 하에서 언론들이 얼마나 비굴했으면, 기자들을 정부 홍보에 활용하려고 하는지, 같은 언론인으로서 정말 씁쓸하기 그지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