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가 8주 연속 하락했다. 특히 서울 강북구와 평촌, 광명, 하남, 용인 등 신규입주가 몰렸던 곳의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또 보금자리주택 지구 인근에서도 기존 아파트 거래가 위축되면서 내림세가 지속됐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0.11% ▲신도시 -0.10% ▲수도권 -0.06%로 8주째 수도권 전 지역에서의 하락세가 지속됐다.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간간히 이뤄졌지만 여전히 매수세는 위축돼 있어 지난주와 하락률이 비슷했다.
서울은 ▲강북(-0.47%) ▲송파(-0.33%) ▲강동(-0.22%) ▲강남(-0.22%) ▲금천(-0.14%) ▲마포(-0.09%) ▲노원(-0.08%)등이 하락했다.
재건축 아파트값의 하락세도 이어져 한 주간 0.47% 떨어졌다. 송파(-1.25%), 강남(-0.68%), 강동(-0.33%), 서초(-0.02%)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송파구는 가락시영이 최대 2000만 원까지 떨어졌으며 잠실 주공5단지도 2000만 원 이상 하향조정됐다.
강동구는 둔촌주공아파트가 평균 500만~2500만 원까지 하락했다. 단 고덕주공의 경우 무상지분율이 예상보다 낮았던 2단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사업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호가가 상승했다.
강남구에서는 개포주공1단지 58㎡가 최근 시세하한선보다 1억 원 낮은 11억5000만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신도시는 ▲평촌(-0.24%) ▲산본(-0.12%) ▲일산(-0.08%) ▲분당(-0.07%) 등의 순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평촌은 꿈건영 3·5단지, 꿈동아, 목련대우·선경 등이 하락했다. 인근 의왕, 광명 등에서의 신규 입주 영향으로 풀이된다. 산본은 묘향롯데와 한라주공1차가 500만~1000만 원 가량 내림세를 기록했다.
그외 수도권은 용적률 하락에 대한 실망으로 과천(-0.42%)이 크게 하락했다. 이어 ▲광명(-0.21%) ▲하남(-0.16%) ▲용인(-0.11%) ▲화성(-0.10%) ▲안산(-0.10%) ▲양주(-0.08%) ▲수원(-0.06%) ▲구리(-0.06%)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광명, 하남, 용인 등은 지난해 말부터 신규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고 있어 물량이 풍부하고 2·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 인근에 위치해 있어 거래 관망세가 짙어졌다는 분석이다.
한아름 부동산114 팀장은 “추가하락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기하는 수요가 많고 보금자리 및 신규 입주 등 아파트 공급물량도 거래부진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수요자들이 급매물마저 외면하고 있어 아파트 가격의 약보합세는 5월에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보금자리주택 지구 인근에서도 기존 아파트 거래가 위축되면서 내림세가 지속됐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0.11% ▲신도시 -0.10% ▲수도권 -0.06%로 8주째 수도권 전 지역에서의 하락세가 지속됐다.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간간히 이뤄졌지만 여전히 매수세는 위축돼 있어 지난주와 하락률이 비슷했다.
서울은 ▲강북(-0.47%) ▲송파(-0.33%) ▲강동(-0.22%) ▲강남(-0.22%) ▲금천(-0.14%) ▲마포(-0.09%) ▲노원(-0.08%)등이 하락했다.
재건축 아파트값의 하락세도 이어져 한 주간 0.47% 떨어졌다. 송파(-1.25%), 강남(-0.68%), 강동(-0.33%), 서초(-0.02%)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송파구는 가락시영이 최대 2000만 원까지 떨어졌으며 잠실 주공5단지도 2000만 원 이상 하향조정됐다.
강동구는 둔촌주공아파트가 평균 500만~2500만 원까지 하락했다. 단 고덕주공의 경우 무상지분율이 예상보다 낮았던 2단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사업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호가가 상승했다.
강남구에서는 개포주공1단지 58㎡가 최근 시세하한선보다 1억 원 낮은 11억5000만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신도시는 ▲평촌(-0.24%) ▲산본(-0.12%) ▲일산(-0.08%) ▲분당(-0.07%) 등의 순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평촌은 꿈건영 3·5단지, 꿈동아, 목련대우·선경 등이 하락했다. 인근 의왕, 광명 등에서의 신규 입주 영향으로 풀이된다. 산본은 묘향롯데와 한라주공1차가 500만~1000만 원 가량 내림세를 기록했다.
그외 수도권은 용적률 하락에 대한 실망으로 과천(-0.42%)이 크게 하락했다. 이어 ▲광명(-0.21%) ▲하남(-0.16%) ▲용인(-0.11%) ▲화성(-0.10%) ▲안산(-0.10%) ▲양주(-0.08%) ▲수원(-0.06%) ▲구리(-0.06%)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광명, 하남, 용인 등은 지난해 말부터 신규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고 있어 물량이 풍부하고 2·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 인근에 위치해 있어 거래 관망세가 짙어졌다는 분석이다.
한아름 부동산114 팀장은 “추가하락에 대한 기대감으로 대기하는 수요가 많고 보금자리 및 신규 입주 등 아파트 공급물량도 거래부진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수요자들이 급매물마저 외면하고 있어 아파트 가격의 약보합세는 5월에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