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4월말까지 주택건설 실적(인허가 기준)이 전년동기 대비 4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주택건설 실적은 수도권 4만2751가구, 지방 2만7874가구 등 총 7만625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만331가구 대비 40.3% 늘어난 것으로 수도권은 66.2%, 지방은 13.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에서는 민간부문이 4만1474가구로 전년동기대비 79.0%로 증가한 반면, 공공부문에서는 1277가구 건설에 그쳐 전년 같은기간보다 50%나 줄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6842가구, 다세대·다가구가 1만8227가구로 각각 19.5%, 170.5% 늘었다. 연립 및 단독주택도 1만5551가구로 21.8% 증가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한만희 주택토지실장 주재로 수도권 지자체와 지방공사, LH공사, 주택협회 등과 주택건설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주택건설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국토부는 주택건설이 저조했던 작년보다는 올해 건설물량이 다소 늘었지만 최근 5년간 실적에는 15.1% 모자라는 등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보금자리 지구내 민간 주택용지를 조기에 공급키로 하고 시범지구 강남·서초의 민간 용지를 6월부터 순차 공급키로 했다.
또 도시형 생활주택 활성화를 위해 가구수 제한 완화(150→300가구)와 사업승인 대상 완화(20→30가구 이상) 등의 제도 개선 사항을 7월 초부터 조기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4월 23일 발표한 미분양 해소 대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해 보완방안도 강구키로 했다.
25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주택건설 실적은 수도권 4만2751가구, 지방 2만7874가구 등 총 7만625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만331가구 대비 40.3% 늘어난 것으로 수도권은 66.2%, 지방은 13.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에서는 민간부문이 4만1474가구로 전년동기대비 79.0%로 증가한 반면, 공공부문에서는 1277가구 건설에 그쳐 전년 같은기간보다 50%나 줄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6842가구, 다세대·다가구가 1만8227가구로 각각 19.5%, 170.5% 늘었다. 연립 및 단독주택도 1만5551가구로 21.8% 증가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날 한만희 주택토지실장 주재로 수도권 지자체와 지방공사, LH공사, 주택협회 등과 주택건설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주택건설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국토부는 주택건설이 저조했던 작년보다는 올해 건설물량이 다소 늘었지만 최근 5년간 실적에는 15.1% 모자라는 등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보금자리 지구내 민간 주택용지를 조기에 공급키로 하고 시범지구 강남·서초의 민간 용지를 6월부터 순차 공급키로 했다.
또 도시형 생활주택 활성화를 위해 가구수 제한 완화(150→300가구)와 사업승인 대상 완화(20→30가구 이상) 등의 제도 개선 사항을 7월 초부터 조기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4월 23일 발표한 미분양 해소 대책의 추진상황을 점검해 보완방안도 강구키로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