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이 지속되면서 이자부담을 견디지 못한 서민용 주택이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늘고 있다.
18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이달 들어 15일까지 수도권 3억원 이하 서민 주택(아파트·연립·다가구) 경매물건은 121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도권 전체 주택물건 2026건의 59.77%에 해당하는 것으로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다.
올 초 수도권 경매시장에서 3억원 이하 서민주택의 비중은 55.43%(1771건)에서 2월 55.14% (1578건)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DTI규제 강화 이후 경매로 넘어온 물건들이 본격적으로 입찰에 부쳐지면서 ▲3월 55.67% (1806건) ▲4월 59.36%(2010건) ▲5월 58.92%(1984건) 등의 증가세를 보였다.
주택 종류별로는 3억 원 이하 아파트의 비중이 47.14%로 전월(46.53%)보다 0.61%p 증가했다. 다가구주택은 46.67%로 5월 45.60% 보다 1.06%p 늘었다.
다가구주택의 경우 올 초 36~37%선에 머물렀지만 아파트나 연립보다 환금성이 떨어지는데다 부동산시장 침체까지 겹쳐 6개월 만에 경매물건 비중이 10%p 가량 증가했다.
반면 연립주택은 전월대비 0.16%p 감소한 88.42%를 기록했다.
18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이달 들어 15일까지 수도권 3억원 이하 서민 주택(아파트·연립·다가구) 경매물건은 121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도권 전체 주택물건 2026건의 59.77%에 해당하는 것으로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치다.
올 초 수도권 경매시장에서 3억원 이하 서민주택의 비중은 55.43%(1771건)에서 2월 55.14% (1578건)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DTI규제 강화 이후 경매로 넘어온 물건들이 본격적으로 입찰에 부쳐지면서 ▲3월 55.67% (1806건) ▲4월 59.36%(2010건) ▲5월 58.92%(1984건) 등의 증가세를 보였다.
주택 종류별로는 3억 원 이하 아파트의 비중이 47.14%로 전월(46.53%)보다 0.61%p 증가했다. 다가구주택은 46.67%로 5월 45.60% 보다 1.06%p 늘었다.
다가구주택의 경우 올 초 36~37%선에 머물렀지만 아파트나 연립보다 환금성이 떨어지는데다 부동산시장 침체까지 겹쳐 6개월 만에 경매물건 비중이 10%p 가량 증가했다.
반면 연립주택은 전월대비 0.16%p 감소한 88.42%를 기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