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저소득가구 대학생 자녀를 대상으로 한 매입임대주택인 ‘대학생 보금자리주택’ 145가구(251실)를 오는 5일 공급한다고 1일 밝혔다.
대학생 보금자리주택은 LH에서 매입한 서울·경기 및 6대 광역시 대학교 주변의 다가구주택을 개보수한 후 기본적인 생활시설을 구비해 저소득가구 대학생에게 저렴하게 임대하는 주택이다.
입주대상은 사업대상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타지역 출신 학생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 및 한부모가족 세대의 자녀나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한 대학생이 1순위다.
2순위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50%이하 가구의 대학생 자녀와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인 장애인 세대주의 대학생 자녀다.
임대조건은 시중임대료의 30% 수준으로 보증금 100만 원에 월 임대료 3만~12만원이다.
LH 관계자는 “서울 서대문의 예를 들면 원룸(23㎡) 시중임대료가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만원이지만 대학생 보금자리주택(34㎡)은 보증금 100만원에 임대료가 12만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임대기간은 2년으로 1회에 한해 연장할 수 있어 최장 4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오는 5일 입주자 모집공고를 실시할 예정이며 입주신청은 1순위 21일~23일, 2순위 26일~28일까지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portal.newplus. go.kr)를 통해 접수한다.
미계약 주택이 발생할 경우 오는 8월 19일부터 20일까지 추가모집을 실시한다.
당첨자 선정은 방별 신청자 중 선순위자를 선정하며 동일 순위에서 경쟁이 발생하면 ▲신입생 ▲저학년 ▲저연령 순으로 선정한다.
지역별 공급물량은 ▲서울 43가구(112실) ▲경기 21가구(27실) ▲인천 20가구(20실) ▲대전 11가구(11실) ▲대구 10가구(14실) ▲부산 20가구(37실) ▲울산 10가구(10실) ▲광주 10가구(20실) 등이다.
LH는 앞으로 도청 소재지 등 주요 지방대학이 소재한 도시로 대학생 보금자리주택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LH홈페이지(www.LH.or.kr)나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portal.newplus.go.kr), LH 콜센터(1600-7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학생 보금자리주택은 LH에서 매입한 서울·경기 및 6대 광역시 대학교 주변의 다가구주택을 개보수한 후 기본적인 생활시설을 구비해 저소득가구 대학생에게 저렴하게 임대하는 주택이다.
입주대상은 사업대상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타지역 출신 학생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 및 한부모가족 세대의 자녀나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한 대학생이 1순위다.
2순위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50%이하 가구의 대학생 자녀와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인 장애인 세대주의 대학생 자녀다.
임대조건은 시중임대료의 30% 수준으로 보증금 100만 원에 월 임대료 3만~12만원이다.
LH 관계자는 “서울 서대문의 예를 들면 원룸(23㎡) 시중임대료가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만원이지만 대학생 보금자리주택(34㎡)은 보증금 100만원에 임대료가 12만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임대기간은 2년으로 1회에 한해 연장할 수 있어 최장 4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오는 5일 입주자 모집공고를 실시할 예정이며 입주신청은 1순위 21일~23일, 2순위 26일~28일까지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portal.newplus. go.kr)를 통해 접수한다.
미계약 주택이 발생할 경우 오는 8월 19일부터 20일까지 추가모집을 실시한다.
당첨자 선정은 방별 신청자 중 선순위자를 선정하며 동일 순위에서 경쟁이 발생하면 ▲신입생 ▲저학년 ▲저연령 순으로 선정한다.
지역별 공급물량은 ▲서울 43가구(112실) ▲경기 21가구(27실) ▲인천 20가구(20실) ▲대전 11가구(11실) ▲대구 10가구(14실) ▲부산 20가구(37실) ▲울산 10가구(10실) ▲광주 10가구(20실) 등이다.
LH는 앞으로 도청 소재지 등 주요 지방대학이 소재한 도시로 대학생 보금자리주택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LH홈페이지(www.LH.or.kr)나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portal.newplus.go.kr), LH 콜센터(1600-7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