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집값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직장인들이 월급을 모아 집 한 채를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월급을 고스란히 모아 서울의 33평(공급면적 109㎡)짜리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기까지의 평균 기간이 1분기 12.9년에서 13.7년으로 늘어난 것이다.
17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8월 현재 서울의 109㎡짜리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5억5872만 원으로 3월 5억6948만원보다 1.9% 감소했다. 반면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 실질소득은 1분기 369만원에서 339만원으로 8% 감소했다.
이에 따른 내집마련 기간은 1분기 12.9년에서 2분기 13.7년으로 10개월 가량 늘어나게 됐다.
지역별로 109㎡ 아파트 장만에 가장 오랜 기간이 필요한 곳은 강남구다. 강남구의 현재 109㎡ 평균 매매가는 10억5353만원으로 도시근로자의 소득만으로 집을 사는데에는 무려 25.9년이 필요했다. 이어 109㎡ 평균 매매가가 9억2956만원인 서초구가 22.9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매매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된 금천구(3억3622만원)의 경우에도 109㎡ 집 장만에 8.3년이 소요된다. 만일 가계지출을 고려한다면 도시근로자가 월급으로만 서울에서 109㎡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진다.
월급을 고스란히 모아 서울의 33평(공급면적 109㎡)짜리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기까지의 평균 기간이 1분기 12.9년에서 13.7년으로 늘어난 것이다.
17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8월 현재 서울의 109㎡짜리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5억5872만 원으로 3월 5억6948만원보다 1.9% 감소했다. 반면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 실질소득은 1분기 369만원에서 339만원으로 8% 감소했다.
이에 따른 내집마련 기간은 1분기 12.9년에서 2분기 13.7년으로 10개월 가량 늘어나게 됐다.
지역별로 109㎡ 아파트 장만에 가장 오랜 기간이 필요한 곳은 강남구다. 강남구의 현재 109㎡ 평균 매매가는 10억5353만원으로 도시근로자의 소득만으로 집을 사는데에는 무려 25.9년이 필요했다. 이어 109㎡ 평균 매매가가 9억2956만원인 서초구가 22.9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매매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된 금천구(3억3622만원)의 경우에도 109㎡ 집 장만에 8.3년이 소요된다. 만일 가계지출을 고려한다면 도시근로자가 월급으로만 서울에서 109㎡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진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