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뉴타운신교통, 동북선경전철, 동북경전철 주식회사 등 3개 컨소시엄이 최근 서울시에 사업제안서를 제출함에 따라 서울 왕십리에서 중계동을 잇는 동북선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이 탄력을 받게 됐다.
경전철 사업은 서울 동북권 교통난 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근 부동산 시장에도 중·장기적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동북선경전철 사업노선 중 기존 지하철과 환승이 가능한 지역의 아파트는 7개 단지 6083가구다.
동북선경전철 사업은 왕십리(2호선·국철)~제기동(1호선)~고려대(6호선)~미아삼거리(4호선)~하계(7호선)~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총 연장 12.3㎞, 정거장 14개소 규모다.
동북선이 개통되면 왕십리~중계동 간 이동시간이 60분에서 23분 수준으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 특히 왕십리, 제기, 미아삼거리, 하계 등 기존 지하철과 연계되는 환승역도 많아 이 일대의 대중교통환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컨소시엄이 제안한 사업제안서에 따르면 오는 10월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돼 민자협상 등을 거쳐 2011년 실시협약, 2012년 착공 예정이다.
▲동북선 경전철 주요 환승역세권 인근 아파트를 살펴보면 왕십리역 앞에 위치한 삼부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67~122㎡ 총 498가구로 구성됐다. 1996년 11월 준공된 이 아파트의 전용84㎡ 형 실거래가격은 5억1500만~6억1000만원이다.
민자역사로 탈바꿈한 왕십리역은 현재 지하철 1·2호선과 중앙선이 지나고 분당선연장과 경전철이 추진되고 있다. 민자역사 내 상권도 성공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인근에는 한양대학교와 성동구청, 성동구립도서관, 왕십리뉴타운 등이 있다.
▲6호선이 지나는 고려대역 앞에는 전용 59~114㎡ 총 1330가구의 한신휴플러스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2000년 7월 준공된 단지로 전용 84㎡형의 올해 실거래가격은 3억5500만~4억원이다.
정릉천을 사이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와 고려대역이 있으며 제기시장과 홍릉근린공원, 서울사대부설고등학교 등이 가깝다.
▲길음·미아뉴타운 등이 가까운 4호선 미아삼거리역 일대에는 860가구 규모의 경남아너스빌과 480가구의 미아동부센트레빌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전용 84㎡형 기준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경남아너스빌이 3억6000만~3억9500만원, 미아동부센트레빌이 4억70000만~5억2000만원이다.
▲7호선과 연계되는 하계역 일대에는 1880가구의 장미아파트와 600가구 규모의 우성아파트가 있다. 우성아파트는 전용 84㎡형 기준으로 올해 3억8800만~4억6100만원의 실거래가격이 신고됐다.
이 일대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형성돼 있어 초·중·고등학교와 편익시설이 잘 조성돼 있으며 서울산업대학교와 중랑천, 등나무근린공원 등도 가깝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서울 강북권 교통난 해소에 상당한 도움이 될 동북선경전철은 인근 아파트 시장의 중·장기적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서울에서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지역의 아파트를 찾는 수요자들은 신규로 조성되는 경전철 역사 인근에도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고 말했다.
경전철 사업은 서울 동북권 교통난 해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근 부동산 시장에도 중·장기적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3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동북선경전철 사업노선 중 기존 지하철과 환승이 가능한 지역의 아파트는 7개 단지 6083가구다.
동북선경전철 사업은 왕십리(2호선·국철)~제기동(1호선)~고려대(6호선)~미아삼거리(4호선)~하계(7호선)~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총 연장 12.3㎞, 정거장 14개소 규모다.
동북선이 개통되면 왕십리~중계동 간 이동시간이 60분에서 23분 수준으로 대폭 단축될 전망이다. 특히 왕십리, 제기, 미아삼거리, 하계 등 기존 지하철과 연계되는 환승역도 많아 이 일대의 대중교통환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컨소시엄이 제안한 사업제안서에 따르면 오는 10월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돼 민자협상 등을 거쳐 2011년 실시협약, 2012년 착공 예정이다.
▲동북선 경전철 주요 환승역세권 인근 아파트를 살펴보면 왕십리역 앞에 위치한 삼부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67~122㎡ 총 498가구로 구성됐다. 1996년 11월 준공된 이 아파트의 전용84㎡ 형 실거래가격은 5억1500만~6억1000만원이다.
민자역사로 탈바꿈한 왕십리역은 현재 지하철 1·2호선과 중앙선이 지나고 분당선연장과 경전철이 추진되고 있다. 민자역사 내 상권도 성공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인근에는 한양대학교와 성동구청, 성동구립도서관, 왕십리뉴타운 등이 있다.
▲6호선이 지나는 고려대역 앞에는 전용 59~114㎡ 총 1330가구의 한신휴플러스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2000년 7월 준공된 단지로 전용 84㎡형의 올해 실거래가격은 3억5500만~4억원이다.
정릉천을 사이로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와 고려대역이 있으며 제기시장과 홍릉근린공원, 서울사대부설고등학교 등이 가깝다.
▲길음·미아뉴타운 등이 가까운 4호선 미아삼거리역 일대에는 860가구 규모의 경남아너스빌과 480가구의 미아동부센트레빌 아파트가 위치해 있다. 전용 84㎡형 기준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경남아너스빌이 3억6000만~3억9500만원, 미아동부센트레빌이 4억70000만~5억2000만원이다.
▲7호선과 연계되는 하계역 일대에는 1880가구의 장미아파트와 600가구 규모의 우성아파트가 있다. 우성아파트는 전용 84㎡형 기준으로 올해 3억8800만~4억6100만원의 실거래가격이 신고됐다.
이 일대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형성돼 있어 초·중·고등학교와 편익시설이 잘 조성돼 있으며 서울산업대학교와 중랑천, 등나무근린공원 등도 가깝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서울 강북권 교통난 해소에 상당한 도움이 될 동북선경전철은 인근 아파트 시장의 중·장기적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서울에서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지역의 아파트를 찾는 수요자들은 신규로 조성되는 경전철 역사 인근에도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