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신드롬’과 ‘고건 신드롬’

    고하승 칼럼 / 안은영 / 2011-11-08 15:25:00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하승


    많은 독자들이 이런 질문을 한다.


    “정말, 내년 대통령 선거에서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출마하느냐?”


    “출마한다면 야권 단일후보로 나서는 것이냐?”


    이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한결같다.


    “안 교수의 출마 가능성은 1%이고, 야권 단일후보 가능성은 0%다.”


    물론 조금 과장된 표현이긴 하지만, 상당수의 전문가들 역시 안 교수의 대선 출마가능성을 그리 높게 보지는 않는다.


    실제 언론인 출신인 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은 최근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안철수가 정치권에 들어가서 성공적으로 역량 발휘를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본다. 현재의 안철수는 일종의 신화다. 현실 정치에 들어오면 안철수도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야권이 통합이 돼서 추대 형식으로 안철수를 모실 때까지 구름 위에서 내려오지 않으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안철수 현상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있다. 너무 정책 방향 제시가 없다. 안철수가 구름 위에 있다고 했는데, 풍선 같은 것 아닌가. 풍선은 바늘 한 번만 찔러도 푹 꺼지는 것이다. 만약 인격적인 결함 같은 게 나오면 꺼질 수 있다. 그리고 정당은 조직 사회인데 조직에 속한 것도 아닌 안철수는 지도자로 상당히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남 전 장관은 또 “안철수 없이도 모든 세력이 통합된다면 대단한 힘이다. 꼭 안철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안철수가 없어도 통합이 되면 한번 해 볼만 하다”고 강조했다.


    정치 평론가 고성국 박사도 최근 “안 교수는 정치권에서보다 밖에 있을 때 강점이 있다. 따라서 야권 통합 과정에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대중들 역시 안 교수를 지지하지만 대선에는 안 나왔으면 하는 욕구가 있다”며 “아직 젊은 데다 검증을 받지 않은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차차기를 노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심지어 그는 “야권 통합의 대표로는 김두관 경남지사가 가장 유력하다”며 "김두관 지사가 내년 대선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대권을 놓고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보수진영의 전략 통으로 불리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같은 경우는 "안 교수의 출마 가능성은 90%고 나머지 10%는 내 짐작으로 가족과 친지 등 주변 설득"이라며, 안교수의 출마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하지만 거기에는 ‘제 3정당’의 탄생을 염원하는 윤 전 장관 자신의 기대치가 들어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실제로는 윤 전 장과 역시 그의 출마가능성을 그리 높게 보지는 않을 것이란 말이다.


    사실 ‘안철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바로 ‘고건’이다.


    안교수와 고 전 총리는 지지율과 인기 원인, 개인성향 등에 있어서 너무나 흡사하기 때문이다.


    고건 전 총리는 한때 지지율이 40%를 웃돌며 인기 절정에 도달했다.


    하지만 고 전 총리는 출마조차 못한 채 중도에서 추락하고 말았다.


    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까?


    당시 그의 인기는 참여정부의 무능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가벼운 입으로 인해 집권 세력에 염증을 느낀 국민들의 반감, 그렇다고 해서 제1 야당인 한나라당을 지지하고 싶지도 않은 민심이 반영된 결과였다.


    즉 고 전 총리가 제시한 정책이나 비전 등을 보고 그를 지지한 것이 아니라, 다분히 ‘반(反)노무현 비(非) 한나라’ 정서에 따른 ‘반사이득’을 챙겼을 뿐이라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고 전 총리 스스로 만들어낸 지지율이 아니라 언제든지 떠나버릴 수 있는 일시적 지지율에 불과했다는 뜻이다.


    이는 최근 정국을 강타하고 있는 ‘안철수 신드롬’이 ‘반MB 비민주’ 정서에서 비롯된 것과 너무나 닮았다.


    특히 고 전 총리는 당시 ‘대안 부재론’에 기대어 범여권에서 자신을 대선 후보로 추대해 주기만을 목이 빠지게 기다렸다.


    하지만 정치권이 어디 그리 녹록한 곳이던가. 진흙탕 싸움을 벌이겠다는 의지 없이는 결코 한 정당의 대선 주자가 될 수 없다.


    결국 그는 중도에 출마포기를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안 교수 역시 마찬가지다. 그에게 정말 ‘진흙탕 싸움’을 불사할 권력의지가 있을까?


    어쩌면 그는 고 전 총리보다 그런 의지가 더 약할지도 모른다.


    남재희 전 장관의 지적처럼 추대 형식으로 그를 모실 때까지 구름 위에서 내려오지 않으려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국 고건 신드롬이 물거품처럼 사라졌던 것처럼, 안철수 신드롬 역시 ‘한여름 밤의 꿈’으로 막을 내리게 될 것이라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안은영 안은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