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상업시설 낙찰률이 올해 최고를 기록, 투자자들의 관심이 주거시설에서 상업시설로 옮겨간 것은 아닌지 주목된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www.ggi.co.kr)이 10월 수도권 상업시설의 경매지표를 조사한 결과 낙찰률은 27.8%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고 낙찰가율은 65.8%로 지난 9월 70%보다는 5%포인트 하락했으나 올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의 낙찰률이 45%로 가장 높았고, 경기도가 27.6%로 뒤를 이었으며, 낙찰가율은 서울 73.9%로 가장 높았다.
10월 수도권 상가 낙찰률의 급상승은 공동담보에 의해 일괄 매각된 개별 상가들이 이끌었다.
이들은 하나의 건물 안에 있지만, 각각 등기되어 있어 건물주가 부채를 상환하지 못할 경우 개별 물건으로 매각된다. 인천은 남구 주안동의 아이존쇼핑몰 내 상가 47개가 감정가의 40%에 한 자산운용사에 일괄 매각되었고, 경기도에서는 고양시 일산 동구 중산동 조은프라자의 상가 32개와 풍동에 위치한 샘터 빌딩의 상가 38개가 모두 매각되었다.
개별 상가들이 상업시설의 낙찰률 상승을 이끌었다면 근린상가는 낙찰가율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난 10월 4일 중앙 9계에서는 감정가 120억원에 이르는 지하3층, 지상 7층 규모의 서울철강빌딩이 감정가의 101%인 121억 원에 낙찰되었다. 고가의 부동산임에도 불구하고 이날 법정에는 15명이 입찰에 참여했으며, 같은 경쟁률을 기록한 감정가 36억 원의 강동구 둔촌동 소재 4층 근린상가도 감정가의 79%인 28억 원에 매각되었다.
이처럼 부동산 경매 시장에서 상가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은 수도권 아파트가 좀처럼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대안 투자 상품을 찾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79.2%로 7월 이후 4개월 연속 80% 아래에 머물러 침체를 이어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