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대한 정부 차원의 조문단 파견 문제를 놓고 한나라당과 민주당 자유선진당이 각각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여당이기 때문에 좀 신중하게 봐야겠다”면서 ‘신중 모드’를 유지하고 있고, 민주당은 조문단 파견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해석하고 있다.
하지만 선진당은 “조문단 파견은 절대 안된다”며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일 오전 현재까지 한나라당은 조문단 파견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한나라당 소속 원희룡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서 "의전적 차원의 정중한 조의 표명을 하고 조문단은 허용하지 않되, 이희호 여사 측은 지난번 김대중 대통령 장례시 북한조문단이 왔었으므로 답례방문을 원한다면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은 "조문단을 보내 남북 관계를 풀어가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며 조문단 파견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영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94년에 있었던 조문 파동을 생생하게 기억한다"며 "당시 우리의 옹졸한 대처에 중국, 러시아까지 유감을 표시했고 이후 북한은 남한을 한반도 문제 해결의 당사자에서 철저히 배제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문에는 상주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는 애도의 조문도 있지만 외교적인 조문도 있는 법"이라며 "조문 파동의 교훈은 이번 사태에 어떤 대응이 지혜로운지 하나의 전범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동철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민주통합당 간사는 "한나라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예방해 조문 문제에 대한 의견을 타진하는 것이 좋겠다는 조심스러운 의견접근이 있었다"며 박 위원장을 만나 조문문제를 논의할 뜻을 비쳤다.
문정림 자유선진당 대변인은 “조문단을 파견해야 된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