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근혜’ 패키지공세 폐기하라

    고하승 칼럼 / 고하승 / 2012-04-25 15:40:00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하승

    오는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통합당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정권 말기에 치러지는 대부분의 선거는 집권당 후보에게 불리하다.


    정권심판론이 집권당 후보에게 타격을 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처럼 국정운영지지도가 사실상 ‘사망선고’에 해당하는 30%대 이하로 떨어진 경우라면 그 타격은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지난 4.11 총선은 물론 오는 12월 대선에서도 ‘MB 정권 심판론’이 안 먹힐 것 같다.


    실제 민주당은 4ㆍ11 총선에서 ‘이명박근혜(이명박+박근혜)’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위원장을 연계한 정권심판론을 제기하기 위함이었다.


    총선 막바지에 민간인불법사찰 파문이 불거지자, 민주당이 ‘박근혜 동반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선 것도 ‘이명박근혜’ 패키지공세 전략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박근혜 위원장도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의 피해자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민주당의 억지공세는 오히려 ‘민심이반’이라는 역풍을 만나고 말았다.


    결과는 152대 127로 민주당의 참패로 나타났다.


    민주당이 12월 대선에서 총선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박 위원장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필요하다.


    즉 이 대통령과 박 위원장을 하나의 몸통으로 엮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국민도 박 위원장과 이 대통령을 분리해서 보는 측면이 많다. 비록 두 사람이 새누리당에서 한 솥밥을 먹고 있지만, 두 사람을 ‘한 통속’으로 보는 국민들이 과연 얼마나 되겠는가.


    그런데도 민주당은 여전히 ‘이명박근혜’ 패키지공세 전략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대선의 초입에서‘ 최시중 금품 수수’라는 대형 호재를 만난 데 너무 들뜬 나머지, 총선 실패에 대한 과오를 되돌아 볼 겨를이 없었던 것 같다.


    실제 박지원 최고위원은 한 인터뷰에서 “(박 위원장은) 집권여당의 대표였고 지금은 집권여당의 비대위원장으로 공동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박근혜 동반 책임론’을 또 다시 언급했다.


    정말 답답한 사람들이다.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금품수수’와 박근혜 위원장 간에 어떤 연결고리가 있다는 말인가.


    더구나 최 전 위원장은 돈의 용처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여론조사 비용’이라고 밝힌 마당이다. 이는 그 돈의 상당한 액수가 여론기관으로 흘러들어 갔다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셈이다.


    사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여론조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당원, 대의원 및 일반국민들이 대거 참여한 현장 투표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앞섰다. 그런데도 한나라당 후보로 선출된 것은 이명박 후보였다. 단지 그가 여론조사에서 조금 앞섰다는 게 이유다. 그래서 당시 많은 사람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고개를 갸웃거리기도 했었다.


    그런데 만일 그 이유가 최 전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시인한 것처럼 금품을 수수하고, 그 중 상당액을 여론조사기관에 뿌린 대가라면, 박 위원장은 대통령 후보 자리를 강탈당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즉 박 위원장이 최대의 피해자라는 말이다.


    국민들 역시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박 위원장에게 공동책임을 지라니, 민주당은 대체 정신이 있는 것인가.


    지금처럼 박 위원장을 이 대통령과 싸잡아 비난하는 상투적인 방법으로는 결코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명박근혜’라는 무용지물의 신조어를 당장 폐기해야만 한다.


    국민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박 위원장이 ‘미래론’을 제시하고 있는 마당이다. 그렇다면 민주당도 자신들만의 ‘비전’을 국민 앞에 제시하고, 여야가 ‘미래비전 프레임’ 경쟁을 벌이는 게 옳지 않겠는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