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새누리당 내 김문수 이재오 정몽준 등 이른바 ‘비박 3인방’의 박근혜 발목잡기에도 불구, 박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지지율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급기야 민주통합당 내 유력 대권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과 당 밖 야권 유력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지지율을 모두 합쳐도 박 전 비대위원장의 지지율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대표 박무익)이 발표한 6월 둘째 주 '데일리 정치지표'에 따르면, 박 전 대표는 대선후보 지지도 다자구도 조사에서 38%의 지지율을 얻으며 1위를 유지했다.
2위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23%, 3위는 10%의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다. 안 원장과 문고문의 지지율을 모두 합해도 33%로 박 전 위원장의 38%에는 미치지 못한다.
심지어 여기에 새누리당 비박계 3인방의 지지율을 더해도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정몽준 의원은 2%, 김문수 지사는 1%이고, 이재오 의원은 1%도 안 된다.
즉 ‘안철수+문재인+정몽준+김문수+이재오<박근혜’라는 등식이 성립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4~8일 전국 유권자 1235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8%P였다.
그럼, 다른 여론조사 결과는 어떤가.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니 별 차이가 없다.
실제 이날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6월 첫째주 주간집계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선후보 다자구도에서는 박근혜 전 위원장이 0.6%p 상승한 41.0%를 기록, 9주 연속 40%대를 유지했다.
반면 2위 안철수 원장은 23.2%, 3위 문재인 고문은 11.7%를 기록했다.
안 원장의 23.2%에 문 고문의 11.7%를 더해도 34.9%에 불과해 박 전 비대위원장의 41.0%에는 훨씬 못 미치는 것이다.
여기에 정몽준(2.4%) 의원과 김문수 지사(2.0%), 이재오(1.2%) 의원 등 비박 3인방의 지지율 합계 5.6%를 모두 더해야 가까스로 박 전 위원장과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게 되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3,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휴대전화 20%, 유선전화 80%)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각각 ± 1.8%p였다.
대체 박 전 위원장의 지지율이 이처럼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분명히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해서 여권후보로서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다.
실제 이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는 지금 바닥수준이다.
한국갤럽조사 결과, 이 대통령에 대한 직무수행 평가에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53%, '잘하고 있다'가 28%, '모름 또는 의견 없음' 12%, '보통' 7%의 순이었다.
부정 평가가 압도적이다. 그러면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는 어떤가.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29.9%인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무려59.5%에 달했다.
한국갤럽 조사 결과보다 부정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박 전 비대위원장의 지지율이 ‘부동의 1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고 있다면, 뭔가 남다른 비결이 있을 것이다.
대체 그게 뭘까?
그에 대한 국민의 전폭적 신뢰다.
오죽하면 진보성향의 한 언론이 “박근혜 대세론은 확고해진 듯하다. 신뢰라는 키워드도 독점했다”고 보도 했겠는가.
박 전 위원장이 국민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주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원칙’을 지키는 정치인이라는 점일 것이다.
다른 보통의 정치인들이 자신의 유.불리를 먼저 계산하는 것과는 달리, 그는 그것의 옳고 그름을 먼저 살핀다.
새누리당 내 비박 3인방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요구하면서 온갖 험담을 쏟아내는데도 박 전 위원장이 꿈적 않는 것은 그것이 원칙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9일 막을 내린 민주통합 당 대표 경선은 오픈프라이머리의 변형인 모바일 투표가 당심과 민심을 왜곡한 결과로 나타난 마당이다.
비박 3인방이 혹시 그런 민심왜곡 현상을 기대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결코 정치인이 취할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