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찰스는 MB의 후계자?’
이는 <시민일보>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올라온 글의 제목이다.
‘푸른산’이라는 닉네임의 정치 논객이 쓴 이 글에는 ‘Lee찰스를 누가 키웠나?’라는 짤막한 글과 함께 이명박 대통령과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나란히 찍은 사진들이 6장 올라있었다.
아마도 찰스는 무소속 대통령 후보를 뜻하는 말인 것 같다.
이글의 조회수는 비록 300여명에 불과하지만 추천수는 무려 60여개나 됐다.
상당히 많은 누리꾼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뜻이다.
물론 안철수 후보가 이명박 대통령의 후계자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관계가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우선 안철수 후보는 MB 정부 하에서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이 공동으로 만든 신성장동력 평가위원회, 지식경제R&D전략기획 투자협의회 등에 참여해 온 인물로, 일부언론에서는 안 후보를 친이계 핵심 인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분류하기도 했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이 안철수 대선후보가 이끌었던 안철수연구소(안랩·AhnLab)에 대해 이명박 정부가 엄청난 특혜를 부여했다는 의혹이 국정감사에서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8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LH는 지난 2010년 10월 안랩의 백신프로그램 ‘V3 IS 8.0’을 8억1,235만원에 수의계약으로 구입했다.
LH는 평소 경쟁 입찰을 통해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왔었는데, 유독 최근 3년 동안 가장 큰 규모의 거래였던 안랩의 ‘V3 IS 8.0’ 구매에 대해선 경쟁이 아닌 수의계약을 택했다.
또 백신프로그램은 1년 단위로 구매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5년 치를 한데 묶어 계약한 것도 특혜로 보인다.
LH에서만 그런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면, 그것은 LH와 안철수 후보와의 특수관계에서 빚어진 일로 치부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같은 날, 지식경제부 국정감사에서도 안랩에 대해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이 지식경제부로부터 제출받은 ‘안랩 지원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모바일 악성프로그램 탐지 및 방어 솔루션 개발을 위해 안랩에 총 37억6,900만원의 연구개발비를 출연했다.
또한 안랩의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인 ‘V3’를 사용하고 있는 지식경제부 및 산하기관에선 V3 유지를 위해 연간 9억원(2011년 기준) 정도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한다.
심지어 안랩의 ‘V3’ 성능이 다른 국내 백신프로그램에 비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지경부가 V3를 고집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정우택 의원이 소개한 영국백신 프로그램 비교평가 업체인 ‘Virus Bulletin’에 따르면 V3는 지난 3년간 보안 프로그램 성능평가 정기 테스트에서 겨우 58%의 합격률을 보였다.
반면 다른 국내업체인 이스트소프트의 알약과 하우리의 바이로봇은 모두 80~90% 이상의 탐지율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이명박 정부는 안랩의 V3를 고집했고, 그로 인해 지경부 홈페이지가 해킹 당한 사례가 수차레나 발생했다.
이쯤 되면, 대단한 특혜 의혹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이명박 정부가 안랩 운영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고, 그래서 일부 정치논객은 ‘안철수 후보는 이명박 대통령의 후계자가 아닐까?’하는 의구심을 지니게 된 것 같다.
특히 새누리당 친이계에서는 안철수 후보가 사실상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야권단일후보를 논의 중인 상황임에도 박근혜 후보에게 안철수 후보와의 연대를 주문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실제 친이계 소장파 김용태 의원은 10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박근혜)주변 분들이 깨끗하게 물러나 주시는 것이 옳다”고 ‘친박 퇴진론’을 거듭 주장하면서 “개헌카드를 통해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 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가 문재인 후보와 단일화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이게 무슨 소리인가.
단순히 ‘박근혜 흔들기’인지, 아니면, 친이계와 안 후보 간에 어떤 묵계가 있었던 것인지, 정말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