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이른바 ‘국민대통합’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단 이 같은 여야 대선주자들의 통합행보에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박수를 보내는 바다.
그동안 국민들은 선거 때마다 보수와 진보성향의 유권자들이 서로 ‘으르렁’ 대면서 대립각을 세워 왔고, 영호남 지역민들은 동서로 나뉘어 지역 갈등을 빚어왔다.
그런데 영남권과 보수층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박 후보가 호남 인사들과 진보 인사들을 끌어안았고, 진보 성향을 지닌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문 후보는 보수 인사를 품에 안았다.
실제 박 후보는 11일 선대위 인선 명단을 발표하면서, '100%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인선도 함께 발표했다.
그 명단을 살펴보니, 새누리당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호남과 민주화 인사들이 대거 포함돼 있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의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이 수석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호남 지역 출신이고 동교동계 원로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는 인물이다.
부위원장에는 윤봉길 의사의 장손녀인 윤주경 매헌기념사업회 이사와 함께 김중태 전 서울대 민족주의 비교연구회 회장이 눈에 띄었다.
김 전 회장은 1964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한·일 협정을 체결한 뒤 반대 시위가 확산되자 비상계엄령을 통해 학생과 언론인 등 41명을 붙잡아 '북한 노동당의 지령을 받고 반란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13명을 기소한 1차 인혁당 사건의 피해자 중 한명이다.
기획담당특보로 임명된 김경재 전 의원은 1971년 DJ의 대선캠프에 참여한 뒤 40여년간 민주당 당원으로 활동해온 정통 민주당 인사로 미국 망명시절에 김형욱 회고록을 써 유신체제를 뒤흔들기도 했다.
국민통합위원 중에는 광주시민사회단체연합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김규옥 목사와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으로 사형을 언도받았다가 특별사면된 광주국민통합2012 의장을 비롯해 김준용 전 전국노동자협의회 사무차장, 김용직 진실화해위원회 상임위원, 유성식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비서관, 한경남 전 민청련 회장의 이름이 들어 있다.
보수와 진보간 이념적 갈등과 동서간 남남갈등 등으로 서로 반목하며 국가발전을 저해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이들이 국민대통합, 나아가 남북통일을 이루는 일에 힘을 모아 준다면, 얼마나 바람직한 일이겠는가.
이에 앞서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지난달 26일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전격 영입한 바 있다.
윤 전 장관은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출신의 선거전략가인데 문재인 캠프에서 추미애 민주통합당 최고위원과 공동으로 국민통합추진위원장을 맡는다.
문 후보가 최근 윤 전 장관을 만났고, 그 자리에서 두 사람은 이념·지역·당파 등으로 쪼개진 한국 사회가 갈등과 대립을 넘어 상생하고 공존하는 통합의 지혜를 찾아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여야의 박근혜, 문재인 후보가 국민대통합 행보를 취하고 있는 마당이다.
그렇다면 새누리당과 민주당 소속 인사들은 당연히 그들 후보의 뜻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여야 모두 당내에서는 이같은 국민대통합 행보를 두고 불만의 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내에서는 한광옥 전 고문의 영입에 대해 안대희 위원장이 불만을 제기했고, 민주당 내에서는 윤여준 전 장관 영입문제를 놓고 강금실 전 법부장관이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그래서는 곤란하다.
이제 우리나라가 한단계 더 발돋움하려면, 국민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 특히 세계경제가 위기에 봉착한 마당이다. 이런 시점에 우리가 서로 내편 네편 ‘편 가르기’나 하다가는 국가 경쟁력 약화로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지금은 국민의 뜻을 하나로 모아야 하는 글로벌 경쟁시대다.
유권자들 역시 박근혜 문재인 후보의 ‘통합행보’에 담긴 큰 뜻을 존중하면서 상대 지지자들까지 너그러운 마음으로 품어 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