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공단이 운영 중인 '교통신호 긴급출동 콜센터(1599-3572)'가 무용지물로 전락해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통신호 긴급출동 콜센터란 교통신호 불편함에 대한 신고접수 창구다. 도로교통공단은 지난해 12월 서울을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을 통해 올해부터는 부산, 대구, 인천까지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2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새누리당 고희선 의원이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교통신호 긴급출동 콜센터 운영 현황'(콜센터)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일평균 1~2명의 민원 전화를 받기위한 운영비용이 연간 약 2억원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서울의 경우 1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접수된 교통신호 관련 불편사항의 민원은 총 433건이 접수됐다. 일평균 콜센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1~2명뿐인 셈이다. 같은 기간 실제 출동한 경우는 단 59차례에 그쳤다.
특히 이를 위해 공단은 서울의 경우 전담팀 6명을 구성해 운영비를 연간 1억5910만원을 지급(정규직 인원은 각종 수당과 인센티브를 제외)하고 있다. 지난해 콜센터를 만들며 8300만원의 홍보비도 지출했다.
그러나 국민들은 공단의 콜센터 존재를 모르고 있었다. 교통신호 불편에 대한 민원은 주로 112(경찰청)와 120(다산콜센터, 서울)을 이용했다.
서울의 경우 올해 8월말까지 112에 접수된 교통관련 민원은 약 24만건이었다. 이중 23만건에 대해서는 실제 출동이 이뤄졌다. 같은 기간 다산콜센터의 교통신호 불편신고 접수건수는 1만1464건으로 공단 긴급출동 콜센터의 25배에 달했다.
고 의원은 "공단은 국민들이 알지도 못하는 콜센터를 만들어 연간 2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무용지물로 전락한 콜센터를 하루 빨리 없애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교통신호 긴급출동 콜센터는 지난해 12월23일 서울에서 처음 시작돼 운영한지 1년도 지나지 않았다"며 "홍보비 부분도 서울은 현수막과 팜플렛 제작으로 394만원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그는 "교통신호 불편 긴급출동쎈터는 공단에서 신호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하는 것"이라며 "부적절한 신호와 불편한 사항에 대해 신고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신호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