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정치권을 강타할 ‘안철수 신당’이라는 시한폭탄이 ‘째깍 째깍’ 숨 가쁘게 돌아가고 있다.
이른바 ‘안철수 현상’이 재 점화되는 것이다.
실제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오는 4.24 재보선에서 서울 노원병에 출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여야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심지어 안철수 신당에 대한 지지율이 제1야당인 민주통합당 지지율보다 무려 두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는 여로조사 결과까지 나왔다.
한겨레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 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현재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49.5%, 민주통합당 21.8%, 진보정의당 3.3%, 통합진보당 2.6%지만, 안철수 전 교수가 신당을 창당할 경우 새누리당 40.1%, 안철수 신당 29.4%, 민주통합당 11.6%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지지율도 49.5%에서 40.1%로 9.4%포인트나 떨어졌다.
즉 안철수 신당이 창당될 경우에 민주당은 존립기반 자체가 무너질 정도의 치명상을 입게 되고, 새누리당도 상당한 내상이 불가피하게 된다는 뜻이다.
사실 안철수 전 교수가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 후보직을 중도 사퇴할 때만 해도, ‘안철수 거품’이 걷히면서 덩달아 ‘안철수 현상’도 자연스럽게 소멸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왜, ‘안철수’라는 이름이 정치권 전면에 재등장하게 된 것일까?
국민이 보기에 정부 여당은 물론 특히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의 태도가 아주 못마땅하기 때문이다.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 학회 명예회장인 정성호 부산동명대 교수가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가 정치권 전면에 재등장한 것에 대해 5일 “당연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실제 정 교수는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이어 문희상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긴급 기자회견을 하는 등 극한 대치 정국을 빚고 있는 데 대해 “비정상적”이라고 여야를 싸잡아 비난하며, 이 같은 견해를 피력했다.
지금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지 1주일이 넘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여야간 정부조직에 대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국정공백은 물론 일각에서는 “이러다 ‘식물정부’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로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몫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물론 민주당의 상황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정권창출에 실패한데다가 정당 지지율이 새누리당 절반수준을 겨우 남기는 상황에서 어떻게든 민주당의 존재를 드러낼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고, 그것이 강경한 목소리를 내게 하는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대치 상황이 너무 길어지고 있지 않는가. 과연 이런 상황이 바람직한 것이겠는가. 국민들은 지금 민주당을 향해 ‘괜한 발목잡기’를 한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대국민담화에 대해 국민 과반수가 공감한다는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5일 JTBC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 성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 결과에 따르면, 전날 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대해 “매우 공감한다”는 응답이 34.3%, “대체로 공감한다”는 23.0%로 전체 응답자의 57.3%가 공감한다는 의견을 나타났다.
반면 “별로 공감하지 못한다”는 15.8%, “전혀 공감하지 못한다”는 13.7%로 전체 응답자의 29.5%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3.2%였다.
또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 지연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냐’는 질문에 “야당인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31.2%)”는 응답이 “여당에 책임이 있다(21.8%)”보다 무려 9.4%p나 많았다.
국민의 여론은 정부 여당보다 민주당에게 정부조직법 개정안 협상 결렬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여당의 책임은 없는 것인가.
아니다. 41.4%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양당 모두에 책임 있다”고 답했다.
정부와 여당도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만일 현 정치권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되풀이 할 경우, ‘안철수 현상’은 정말 강력한 시한폭탄이 되어 정치판을 뒤흔들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