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지역발전위 출범

    청와대/외교 / 민장홍 기자 / 2013-06-19 17:37:38
    • 카카오톡 보내기
    위원장에 이원종 前충북지사

    [시민일보]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대통령 직속기구로 3개 국정과제위원회 중 하나인 지역발전위원회 인선을 완료하고 출범시켰다.


    이로써 지역발전위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각 지역 현안들을 본격적으로 점검하고 추진하게 됐다.


    지역발전위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대통령 자문위원회로서 지역발전의 기본방향 및 관련 정책의 조정, 지역발전사업 평가, 공공기관 지방이전 등 주요 지역발전사업을 심의·조정하는 기구다.


    참여정부 때에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 신설됐다가 이명박정부 때인 2009년에 지역발전위원회로 개편돼 관련 기능을 맡아왔다.


    특히 지난 정부에 이어 새 정부에서도 그대로 유지되는 유일한 위원회가 바로 국정과제위원회이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 1월 지역발전위를 제외한 각종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폐지 원칙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박근혜정부는 기존 대통령 직속 위원회 중 국정과제위원회로 구분되는 6개 위원회 중 지역발전위만 남기고 신설한 국민대통합위와 청년위를 포함해 3개 위원회를 운영하게 된다.


    기존 6개 위원회 중 국가경쟁력강화위·국가브랜드위·미래기획위·사회통합위 등 4개는 폐지됐고 녹색성장위는 국무총리 소속 기구로 변경됐다.


    이처럼 지역발전위가 새 단장을 하고 본격적으로 운영됨에 따라 앞으로 각 지역별로 갈등을 겪고 있는 현안 등을 풀어나가는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산적한 현안들은 많다.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갈등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을 비롯해 충청권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호남권의 새만금사업·호남고속철도 등도 지역 현안인 동시에 박 대통령의 지역공약이기도 하다.


    수도권에서는 광역급행철도(GTX)와 인천아시안게임 등이 주요 지역 현안이고 강원권의 동서고속화철도, 제주권의 해군기지·신공항 건설 등이 과제로 꼽힌다.


    이 같은 각 지역의 현안들을 다루기 위해 19명의 민간위원들도 다양하게 구성됐다. 이 위원장은 성균관대 출신으로 충북도지사를 세 차례 역임하고 서울시장도 지낸 이원종 한국지방세연구원 이사장이 맡게 됐다. 충북지사 재임 때 오송바이오산업의 기틀을 다지는 등 지역발전을 현장에서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민간위원들의 지역(주소지 기준)도 골고루 분배됐다. 청와대가 출신지 대신 공개한 주소지 기준에 따르면 수도권이 8명(서울 7명·경기 1명)으로 가장 많고 영남 4명, 호남 3명, 충청 2명, 강원 1명, 제주 1명 등으로 구성됐다. 이 위원장의 현 주소지는 서울이다.


    이 가운데 여성은 차미숙·한경숙 등 2명의 위원이 포함됐다.


    직업으로는 교수가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김진국·배준구·서순탁·설경원·신순호·양영오·이무용·이상룡·이상우·이창무·주성재 위원 등이 현직 교수다. 또 이 가운데 3명을 제외한 8명이 지방대 교수다.


    이 위원장을 비롯해 강병규·고윤환·한경숙 위원 등 4명은 중앙 및 지방 공무원 출신이다. 김동주·차미숙·허동훈 위원 등 3명은 지역발전과 관련된 연구원 출신으로 위원에 위촉됐다. 이태호 위원은 청주상공회의소 명예회장으로 경제인 출신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