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선' 개입 수사 주력 … 대공수사 팀장도 금명간 소환
서울시 공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국정원 차원의 조직적인 개입 정황을 포착하고 대공수사국 직원들을 잇따라 조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윤갑근 검사장)은 전날 국정원 권 모 과장(4급)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은 권 과장이 간첩혐의로 기소된 유우성씨 북·중 출입경기록의 발급확인서 입수와 싼허(三合)변방검사참 문건에 대한 허위 영사확인서를 작성하는데 관여한 구체적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 과장은 지난해 8월 국정원 대공수사국에서 수사한 유우성씨 간첩사건에 합류했으며 지난달 중국 주재 선양총영사관에서 부총영사로 파견됐다. 과거 중국에서 신분을 감추고 활동하는 '블랙'요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국정원 대공수사국 김 모 과장, 국정원 출신 이인철 주(駐)선양총영사관 영사와 함께 권 과장을 증거조작에 관여한 공범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허룽(和龍)시 공안국 명의의 발급확인서가 선양영사관-외교부-대검찰청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권 과장의 구체적인 역할과 어떤식으로 개입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특히 권 과장은 지난해 11월 출입경기록 발급확인서 입수방법을 놓고 김 과장과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국정원이 입수한 싼허검사참 문서의 위조자체에 권 과장이 개입했거나 위조사실을 알고도 묵인했는지, 이 영사의 허위 영사확인서 작성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전날 권 과장을 상대로 김 과장이 국정원 협조자 김 모씨(61·구속)를 통해 위조문건을 입수하는데 관여한 사실이 있는지, 국정원 상부에서 문서위조와 관련된 지시나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 등을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권 과장의 진술내용을 검토한 뒤 재소환 여부를 결정하는 한편, 이 모 대공수사팀장도 금명간 소환해 문서 위조를 지시·보고하거나 묵인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상명하복 관계의 국정원 조직 특성상 김 과장이나 권 과장이 독단적으로 문서 위조를 주도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수뇌부가 개입한 단서를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국정원 지휘라인에서 위조 문서의 입수·제출과정 뿐만 아니라 증거조작 전 과정에 걸쳐 간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검찰은 국정원에서 압수한 대공수사팀의 수사기록과 내부 보고서, 주(駐)선양총영사관에서 임의제출받은 국정원 직원의 컴퓨터 등을 비교 분석하며 '윗선'을 확인할 방침이다. /뉴시스
서울시 공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국정원 차원의 조직적인 개입 정황을 포착하고 대공수사국 직원들을 잇따라 조사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팀장 윤갑근 검사장)은 전날 국정원 권 모 과장(4급)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은 권 과장이 간첩혐의로 기소된 유우성씨 북·중 출입경기록의 발급확인서 입수와 싼허(三合)변방검사참 문건에 대한 허위 영사확인서를 작성하는데 관여한 구체적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 과장은 지난해 8월 국정원 대공수사국에서 수사한 유우성씨 간첩사건에 합류했으며 지난달 중국 주재 선양총영사관에서 부총영사로 파견됐다. 과거 중국에서 신분을 감추고 활동하는 '블랙'요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국정원 대공수사국 김 모 과장, 국정원 출신 이인철 주(駐)선양총영사관 영사와 함께 권 과장을 증거조작에 관여한 공범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허룽(和龍)시 공안국 명의의 발급확인서가 선양영사관-외교부-대검찰청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권 과장의 구체적인 역할과 어떤식으로 개입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특히 권 과장은 지난해 11월 출입경기록 발급확인서 입수방법을 놓고 김 과장과 상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국정원이 입수한 싼허검사참 문서의 위조자체에 권 과장이 개입했거나 위조사실을 알고도 묵인했는지, 이 영사의 허위 영사확인서 작성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전날 권 과장을 상대로 김 과장이 국정원 협조자 김 모씨(61·구속)를 통해 위조문건을 입수하는데 관여한 사실이 있는지, 국정원 상부에서 문서위조와 관련된 지시나 보고를 받았는지 여부 등을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권 과장의 진술내용을 검토한 뒤 재소환 여부를 결정하는 한편, 이 모 대공수사팀장도 금명간 소환해 문서 위조를 지시·보고하거나 묵인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상명하복 관계의 국정원 조직 특성상 김 과장이나 권 과장이 독단적으로 문서 위조를 주도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수뇌부가 개입한 단서를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국정원 지휘라인에서 위조 문서의 입수·제출과정 뿐만 아니라 증거조작 전 과정에 걸쳐 간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검찰은 국정원에서 압수한 대공수사팀의 수사기록과 내부 보고서, 주(駐)선양총영사관에서 임의제출받은 국정원 직원의 컴퓨터 등을 비교 분석하며 '윗선'을 확인할 방침이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