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과장 자살시도 악재… '윗선' 수사 난항

    사건/사고 / 신한결 / 2014-03-24 17:30:58
    • 카카오톡 보내기
    '공무원 간첩사건' 관련
    [시민일보=신한결 기자] 서울시 공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과 관련해 국정원 협력자로 김 모씨(61·구속)에 이어 또 다시 검찰조사를 받았던 국가정보원 권 모 과장(4급)이 자살을 기도하면서 검찰 수사에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는 지난 5일 서울 영등포의 한 모텔에서 자살을 시도했던 국정원 협력자 김씨에 이어 권 과장의 자살 기도가 악재로 작용해 국정원 윗선으로 향한 검찰의 수사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검찰은 국정원 대공수사국 김 모 과장, 국정원 출신 이인철 주(駐)선양총영사관 영사와 함께 권 과장이 문서위조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국정원에서 27년간 대공업무를 담당하며 중국에서 신분을 감추고 활동하는 '블랙 요원'으로 활동했던 권 과장이 지난달 중국 주재 선양총영사관의 부총영사로 파견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검찰은 국정원의 조직적인 사전기획 하에 상부 지시에 따라 중국 현지에서 문서위조를 주도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검찰은 지난 19~21일 권 과장을 상대로 부총영사로서 담당했던 업무와 지휘·결재 라인, 특수 활동비 지급 경위와 내역, 위조문서 입수·전달 방법과 경로, 상부의 지시·보고 여부 등에 대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였지만 권 과장은 자신의 혐의를 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 22일 김 과장과 권 과장의 직속 상관인 국정원 대공수사국 팀장인 이 모 처장(3급)을 소환해 10시간이 넘는 조사를 벌이며 문서위조와 관련한 지시·보고여부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캐물었지만 이 처장 역시 '문서 위조 사실을 알지 못했다'는 취지로 진술하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권 과장의 경우 지난 21일 검찰 조사 직후 한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문건의 진위는 김 과장과 김씨만 알겠지만 우리는 '진짜 문건'을 입수한다는 전제하에서 관련 활동을 했다"며 "협조자를 보호하기 위해 했던 은닉 활동들을 검찰은 법의 잣대만을 들이대며 조직적인 위조활동으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결국 이처럼 검찰이 국정원의 '윗선' 개입여부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펼치고 있지만 국정원 직원들이 위조사실 인지 자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따라서 검찰은 이같은 국정원 직원들의 진술을 반박할 만한 구체적인 물증 확보에 주력하고 있지만 그 동안의 압수수색 결과나 중국과의 사법공조를 통해 건네받은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이마저도 쉽지는 않을 상태다.

    여기다 권 과장까지 자살을 기도하면서 협력자 김씨-김 과장·권 과장-이 처장-대공수사단장-대공수사국장으로 이어지는 국정원 대공수사국의 상부 라인에 대한 조사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