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세월호 선원 15명 전원이 구속됐다.
침몰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순간을 맞은 세월호에서 선원들이 제 한 몸 살고자 승객 476명의 목숨을 헌신짝 내버리듯이 방치하고 배를 떠났다는 이유에서다.
27일 검경 합동수사본부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11일 만인 지난 26일까지 핵심 선원 15명 전원을 구속했다.
합수부는 우선 선장 이준석씨(69)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도주 선박의 선장 또는 승무원에 대한 가중처벌), 유기치사죄, 업무상 과실 선박 매몰죄, 업무상 과실치사죄, 수난구호법 위반 등 5가지 혐의를 적용했다.
특히 이씨에게 최고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는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다.
합수부는 또한 선장 이씨와 침몰 당시 운항지휘를 했던 3등항해사 박 모씨(25·여), 조타기를 작동했던 조타수 조 모씨(55) 등 2명에 대해서는 업무상 과실 선박 매몰죄, 업무상 과실치사죄, 수난구호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이어 나머지 선원 12명에게는 공통적으로 유기치사죄와 수난구호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고 있다.
앞서 합수부는 지난 22일 1등항해사 강 모(42)·신 모씨(34)와 2등항해사 김 모씨(47), 기관장 박 모씨(54) 등 4명을 구속했으며 이틀 후인 24일 1등기관사 손 모씨(57), 3등 기관사 이 모씨(25·여), 조기수 이 모(55)·박 모씨(58) 등 4명을 구속했다.
이어 지난 26일에는 조타수 박 모씨(59)·오 모씨(57), 조기장 전 모씨(55), 조기수 김 모씨(61) 등 4명을 구속해 승객을 두고 생존한 선박직 선원 15명 모두를 사법처리 대상에 포함시켰다.
구속된 선원 직책과 직급은 선장 1명, 1등항해사 2명, 2등항해사 1명, 3등항해사 1명, 기관장 1명, 1등기관사 1명, 3등기관사 1명, 조타수 3명, 조기장 1명, 조기수 3명이다.
선원들은 대체로 세월호 침몰 당시 승객을 버리고 자신들만 탈출한 혐의를 인정하고 있지만 "퇴선 명령이 (승객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사고 원인이나 침몰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 등 책임 회피성 발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이들의 구속기간을 연장해 사고 당시의 구체적인 정황을 파악한 뒤 기소할 방침이다.
침몰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 순간을 맞은 세월호에서 선원들이 제 한 몸 살고자 승객 476명의 목숨을 헌신짝 내버리듯이 방치하고 배를 떠났다는 이유에서다.
27일 검경 합동수사본부에 따르면 세월호 참사 11일 만인 지난 26일까지 핵심 선원 15명 전원을 구속했다.
합수부는 우선 선장 이준석씨(69)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도주 선박의 선장 또는 승무원에 대한 가중처벌), 유기치사죄, 업무상 과실 선박 매몰죄, 업무상 과실치사죄, 수난구호법 위반 등 5가지 혐의를 적용했다.
특히 이씨에게 최고 무기징역까지 선고할 수 있는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상태다.
합수부는 또한 선장 이씨와 침몰 당시 운항지휘를 했던 3등항해사 박 모씨(25·여), 조타기를 작동했던 조타수 조 모씨(55) 등 2명에 대해서는 업무상 과실 선박 매몰죄, 업무상 과실치사죄, 수난구호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다.
이어 나머지 선원 12명에게는 공통적으로 유기치사죄와 수난구호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고 있다.
앞서 합수부는 지난 22일 1등항해사 강 모(42)·신 모씨(34)와 2등항해사 김 모씨(47), 기관장 박 모씨(54) 등 4명을 구속했으며 이틀 후인 24일 1등기관사 손 모씨(57), 3등 기관사 이 모씨(25·여), 조기수 이 모(55)·박 모씨(58) 등 4명을 구속했다.
이어 지난 26일에는 조타수 박 모씨(59)·오 모씨(57), 조기장 전 모씨(55), 조기수 김 모씨(61) 등 4명을 구속해 승객을 두고 생존한 선박직 선원 15명 모두를 사법처리 대상에 포함시켰다.
구속된 선원 직책과 직급은 선장 1명, 1등항해사 2명, 2등항해사 1명, 3등항해사 1명, 기관장 1명, 1등기관사 1명, 3등기관사 1명, 조타수 3명, 조기장 1명, 조기수 3명이다.
선원들은 대체로 세월호 침몰 당시 승객을 버리고 자신들만 탈출한 혐의를 인정하고 있지만 "퇴선 명령이 (승객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사고 원인이나 침몰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 등 책임 회피성 발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이들의 구속기간을 연장해 사고 당시의 구체적인 정황을 파악한 뒤 기소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