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딘' 천안함 사고 당시도 정부 유착 의혹

    사건/사고 / 전용혁 기자 / 2014-04-28 17:57:07
    • 카카오톡 보내기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
    "7~8억원에 선체 인양해준다는 업체 있었지만 배제 돼"
    이원상 당시 가족대책위원장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선박 인양전문 업체인 ‘언딘 마린 인더스트리(이하 언딘)’가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에서 인명구조작업을 주도하면서 구조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는 주장이 실종자 가족들 사이에서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또한 지난 2010년 천안함 사고 당시에도 수색작업을 벌이던 민간어선 금양호가 충돌했을 때 시신 수색작업을 맡았는데 그 당시에도 정부와의 유착관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천안함 사고 당시 실종자 가족대책위원장을 맡았던 이원상씨는 28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2010년 천안함 사고 당시 ‘언딘’이 선정이 된 부분에 대해 “선정기준을 모른다. 선정을 하기까지 가족들에게 언급이 없었고 언딘이라는 회사 자체가 (정부와)뭔가 관계가 있었던 것 같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선정 과정에서도 보면 7억~8억원 정도에 선체를 아예 인양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업체 N사라고 부산에 있었는데 거기서 잠수부가 잠수를 하지 않고 선체 인양할 수 있다고 얘기까지 했었는데도 그 업체가 배제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수색 작업에 대해 “소나나 ROV 같은 장비를 동원해서 충분히 선체수색도 가능한데 돈이 많이 드니까 국가예산만으로는 돈이 부족하니까 (언딘이)자기들은 포기한다고 했다”며 “수심 70m나 되다 보니 선체 진입하기가 위험하다. '돈이 더 지급이 돼야 선체로 진입을 하겠다'는 얘기가 나온 것”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저희들은 선체수색을 원한 게 아니고 시신을 한 구라도 건져서 장례식을 치르려고 했었다”며 “당시 언딘과의 계약과정은 정확하게 말씀을 못드리지만 알파 잠수기술이나 부산 N사가 더 낫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N사는 처음부터 선체인양까지 7억원에서 8억원을 얘기했다. 그런데 그게 또 배제된 것”이라며 “조사를 좀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