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비자금 조성 혐의' 유병언 장남도 소환 불응

    사건/사고 / 박기성 / 2014-05-12 18:49:05
    • 카카오톡 보내기
    檢, 재소환 통보도 불응땐 강제구인
    [시민일보=박기성 기자]세월호 참사과 관련해 검찰이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인 유병언 전 회장(73) 일가의 비리에 수사 촛점을 맞춘 가운데 유 전 회장의 자녀들이 연이어 검찰의 소환을 불응하면서 검찰의 대응이 주목된다.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 2차장검사)은 10일 장남 대균씨(44)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렀지만 소환에 불응했다.

    대균씨는 지주회사인 아이원아이홀딩스를 비롯해 다판다와 트라이곤코리아 등 핵심계열사의 대주주로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컨설팅비 명목으로 계열사 돈을 끌어 모아 수십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대균씨가 계열사인 세모에서 실제 근무하지 않으면서도 매월 1000만원의 급료를 받아온 만큼 경영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검찰은 유 전 회장의 실질적인 후계자로 알려진 차남 혁기씨(42)와 핵심 측근들에게 세차례 소환 통보를 했지만, 응하지 않자 국내에 머물고 있는 장남 대균씨를 먼저 불러 조사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외국에 있는 차남 혁기씨와 장녀 섬나씨(48)에 이어 장남 대균씨까지, 유 전 회장의 자녀 모두 출석을 거부함에 따라 검찰의 다음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 전 회장의 측근들에 대한 검찰 수사는 순조롭게 진행되는 반면 자녀들은 모두 소환통보에 불응하면서 자칫 이 사건의 정점에 있는 유 전 회장 소환 일정에도 차질을 빚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일단 검찰은 소환에 불응한 대균씨에게 한 차례 더 소환 통보를 한 뒤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강제 구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지금까지 상황으로 보아 오늘 출석 요구한 대균씨가 불출석할 것으로 보인다"며 "출석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세차례 소환 통보에 불응한 차남 혁기씨와 장녀 섬나씨, 핵심 측근인 김혜경 한국제약 대표이사(52·여), 김필배 전 문진미디어 대표(76)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 받았다.

    검찰은 이들이 유 전 회장 일가의 비리를 입증하는데 핵심 측근들인 만큼 강제 소환을 위해 여권무효화를 비롯해 미국 연방수사국(FBI)와 국토안보수사국(HSI) 등과 함께 강제 소환 추진 중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미 유 전 회장의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어느정도 확보한 검찰이 유 전 회장에게 곧바로 소환을 통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자진 출석과 강제 구인 등 유 전 회장에 대한 여러 소환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국민적 공분을 산 세월호 참사에 대한 수사인 만큼 수사 대상과 범위를 제한을 두지 않고 수사의 속도를 늦추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유 전 회장 측근 가운데 구속된 사람은 송국빈 다판다 대표(62)와 ㈜아해 이재영 대표이사(62) 등 모두 6명이다. 전날 검찰은 유 전 회장의 친형인 유병일씨와 계열사 온지구 대표인 채규정 전 전북 행정부지사(68)를 불러 고강도 조사를 벌였다.

    이르면 이번주 안으로 유 전 회장을 직접 소환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면서 자녀들과 핵심 측근들에 대한 검찰의 압박도 점차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