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해길 |
주취자들의 행패나 폭력에 감정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민생치안을 책임지는 경찰관으로서 동요없이 이성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야간에 들어오는 112신고 중에서도 음주로 인한 신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업무가 마비되거나 긴급상황이나 강력범죄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점도 이러하다.
폭음으로 인해 이성을 잃고 주변 사람들 괴롭히는 수준을 넘어 아예 폭력 등 범죄로 이어지며 사회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술주정에 비교적 관대한 한국 문화 때문에 그동안 이 같은 주폭이 수그러들지 않았다.
최근 급증하는 주취폭력 일명 주폭이란 신조어로 만취상태에서 상습적으로 상가 주택가 등에서 인근 주민 등 선량한 주민에게 폭력과 협박을 가하는 사회적 위해사범이다. 주취폭력자는 버스·택시기사를 폭행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하철 및 공공기관에서의 소란행위와 거리에서의 고성방가 그리고 음식점내 업무방해 재물손괴 심지어 119구급대원이나 경찰관마저 폭행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피해는 열심히 일하는 서민들 행복한 가정안에서도 보복 및 수취심등으로 신고를 기피 다시 폭력에 시달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주취 범죄의 근본적인 원인이 알코올 중독이므로 이를 줄이는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의학계에서는 알코올중독은 간질환뿐만아니라 뇌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본다. 알코올 중독은 개인의 건강도 문제이지만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다. 가족내 갈등은 물론 대화나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을 주어 끝내 자살하는 경우도 많다.
이들을 정신의학적으로나 심리적 사회적으로 치료 선도 계몽해야 알코올 남용으로 인한 사회 병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취폭력의 만행을 아무런 조치 없이 지켜보기보다는 올바르고 건전한 술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선진국의 예처럼 공원내 전면적 음주 금지법안 등 실질적인 법안이 개정되어야 하며 상습적으로 술에 취해 관공서 또는 지역주민들에게 행패를 부리고 폭력을 일삼는 행동에 대해 더 이상의 관용은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비뚤어진 음주문화와 주취폭력에 대하여 더 이상 관대해서는 않되며 사회의 안전과 질서유지를 위해 국민의 동참과 관심이 필요하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