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여명)이 80세를 넘었지만 질병 속에 10년 정도는 살아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사는 기간이 70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숙자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건강수명 산출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에 태어난 신생아의 건강수명은 70.74세로 분석된 데 반해 같은 시기 기대수명이 81.2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살면서 10.46년은 질병을 앓는 꼴이다.
이는 2009년에 태어난 신생아가 평생을 살면서 질병에 시달리는 기간이 8.04년인 것을 감안하면 2년새 2년 이상이 늘어난 수치다.
건강수명은 우리나라의 123개 질병의 장애가중치를 적용해 산출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건강수명의 경우 68.79세인데 반해 여성의 건강수명이 72.48세로 남성보다 3.69년 정도 많았다.
그러나 기대수명을 고려하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기간은 여성이 취약했다.
2011년의 남성의 기대여명은 77.65세로,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가 약 8.86년(질병 없이 보내는 비중 88.59%)이었지만 여성의 기대여명은 84.45세로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가 11.97년(85.83%)으로 벌어졌다.
고 위원은 "기대여명과 건강수명 차이는 주로 만성질환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성질환자의 자가관리를 통해 환자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고, 고위험 만성질환자와 복합만성질환자의 경우 등록·관리를 보다 강화하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사는 기간이 70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숙자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건강수명 산출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에 태어난 신생아의 건강수명은 70.74세로 분석된 데 반해 같은 시기 기대수명이 81.2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살면서 10.46년은 질병을 앓는 꼴이다.
이는 2009년에 태어난 신생아가 평생을 살면서 질병에 시달리는 기간이 8.04년인 것을 감안하면 2년새 2년 이상이 늘어난 수치다.
건강수명은 우리나라의 123개 질병의 장애가중치를 적용해 산출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건강수명의 경우 68.79세인데 반해 여성의 건강수명이 72.48세로 남성보다 3.69년 정도 많았다.
그러나 기대수명을 고려하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기간은 여성이 취약했다.
2011년의 남성의 기대여명은 77.65세로,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가 약 8.86년(질병 없이 보내는 비중 88.59%)이었지만 여성의 기대여명은 84.45세로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가 11.97년(85.83%)으로 벌어졌다.
고 위원은 "기대여명과 건강수명 차이는 주로 만성질환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성질환자의 자가관리를 통해 환자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고, 고위험 만성질환자와 복합만성질환자의 경우 등록·관리를 보다 강화하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