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서예진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수학을 통해서 배우는 창의성과 논리적, 합리적 사고야말로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요소"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축사에서 "지금 세계는 한사람의 뛰어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세계를 움직이는 창조와 혁신의 시대에 진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수학은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문이자 전 인류가 공유하는 위대한 유산"이라며 "인류는 문자가 없었던 고대부터 셈과 측량을 시작했고, 수학은 지역과 민족을 뛰어넘어 인간의 논리적인 인식 체계의 바탕이 되는 가장 보편적인 언어로 인류의 삶을 바꿔놓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투자나 빅데이터 분석에 수리모델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며 "이처럼 수학은 새로운 방식과 원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면서 과학기술, 산업,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발전도 수학과 직결돼 있다"며 "그런 점에서 저는 수학이 수학자들만의 학문이 아니라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이들과 일반 대중들이 친근하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학문으로 발전해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박 대통령은 대회 전통에 따라 필즈상, 네반리나상(수리정보과학분야), 가우스상(응용수학분야), 천상(기하학분야)도 직접 시상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축사에서 "지금 세계는 한사람의 뛰어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세계를 움직이는 창조와 혁신의 시대에 진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수학은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문이자 전 인류가 공유하는 위대한 유산"이라며 "인류는 문자가 없었던 고대부터 셈과 측량을 시작했고, 수학은 지역과 민족을 뛰어넘어 인간의 논리적인 인식 체계의 바탕이 되는 가장 보편적인 언어로 인류의 삶을 바꿔놓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투자나 빅데이터 분석에 수리모델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며 "이처럼 수학은 새로운 방식과 원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면서 과학기술, 산업,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발전도 수학과 직결돼 있다"며 "그런 점에서 저는 수학이 수학자들만의 학문이 아니라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이들과 일반 대중들이 친근하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학문으로 발전해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박 대통령은 대회 전통에 따라 필즈상, 네반리나상(수리정보과학분야), 가우스상(응용수학분야), 천상(기하학분야)도 직접 시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