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용인지역 8개 장애인단체로 구성된 용인시장애인단체연합회는 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교육청이 지난달 27일 지역주민의 집단 이기주의에 밀려 특수학교설립계획을 보류했다"며 "이는 장애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이어 "성복동 주민들이 장애인특수학교가 아닌 특목고나 자립형사립고 등의 설립계획이 수립됐더라도 지금처럼 반대했을지 되묻고 싶다"며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존재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이들은 또 "용인지역 특수학교 대상자는 이중 13.8%(154명)만 지역내 학교에 배치됐다. 도내 배치율 19.4%, 전국 평균 29.02%에 비해 매우 저조한 실정"이라며 "용인지역에 장애아동의 교육을 위한 공립특수학교를 조속히 건립해 줄 것을 건의한다"고 요구했다.
연합회 김창호 회장은 "성복동에서 쫓겨나 다른 곳에 건립예정지를 지정하더라도 또 그 주변에서 민원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재정 교육감은 선거 당시 '장애인 관련 사업과 정책을 지원하는 것이 국가의 우선적 책임'이라고 한 발언에 책임을 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 성복동 부지에 장애인특수학교를 건립해 달라는 내용의 성명서와 지역 주민 2500여명의 서명부를 도교육청에 전달할 계획이다.
도 교육청은 당초 지난 4월부터 수지구 성복동에 있는 초교 부지에 특수학교를 설립하려고 했으나 성복동 주민들이 해당 부지에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며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자 지난달 27일 사업 전면 재검토를 선언했다.
도 교육청은 현재 대체 부지를 물색 중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