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세론’ vs. ‘반기문 대안론’

    고하승 칼럼 / 고하승 / 2014-10-21 15:31:30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하승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여당 지지율은 제 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새누리당 지지율이 새정치연합보다 두 배가량 높게 나온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0%p) 결과에 따르면, 정당지지도에서 새누리당이 43.6%인 반면 새정치연합은 20.4%에 불과했다. 양당 격차가 무려 23.2%p에 달하는 것이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를 실시한 결과, 새누리당이 44%인데 비해 새정치연합은 21%에 그쳤다. 양당 격차가 23%p로 역시 두 배 이상 크게 벌어졌다.

    이쯤 되면 여권 입장에서는 정권재창출은 사실상 ‘따 놓은 당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여당의 차기대선주자 지지율이나 선호도를 보면 한숨이 나올 정도다.

    먼저 한길리서치가 지난 17~18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 ±3.1%p) 결과를 보면, 여야 전체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는 새누리당 소속 주자들이 새정치연합 대선주자들에 비해 크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권 선두주자인 김무성 대표와 야권 선두인 박원순 서울시장 간의 지지율 격차가 무려 두배 이상 크게 벌어졌다.

    실제 박원순 시장이 21.6%로 1위를 차지했고, 문재인 의원이 13.8%, 김무성 대표 10.1%, 안철수 의원 7.7%, 정몽준 전 대표 6.7%, 김문수 위원장 5.4%를 각각 얻었다.

    이를 여야로 구분해보면 여당 인사들의 지지율은 더욱 초라하다.

    새정치연합 인사들의 지지율을 모두 합치면 43.1%(박원순 21.6%+문재인 13.8%+안철수 7.7%)인데 비해 새누리당 인사들의 지지율은 고작 22.1%(김무성 10.1%+정몽준 6.7%+김문수 5.4%)에 불과하다.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결과 역시 마찬가지다.

    박원순 시장은 전주보다 1.2%포인트 하락한 18.1%에 머물렀지만 선두를 지켰다.

    이어 김무성 대표 15.7%, 문재인 의원 13.2%, 김문수 위원장 7.7%, 안철수 전 대표 7.5%, 정몽준 전 대표 7.1% 순이다.

    이러다보니 여권 일각에서는 정권재창출이 어렵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반기문 대안론’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즉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새누리당에서 영입해 그를 차기 대선주자로 내보자는 것이다.

    물론 반 총장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대권 욕심을 드러낸 바 없다. 하지만 차기 대통령 선거를 1년가량 남겨둔 시점인 오는 2016년 12월로 UN 사무총장 임기가 종료됨에 따라 그 가능성은 열려있는 셈이다.

    문제는 그가 과연 경쟁력이 있느냐 하는 점일 것이다.

    그런데 반 총장이 대선주자로 나설 경우 압도적인 지지를 받을 것이란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길리서치에 따르면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39.7%로 압도적인 1위로 나타났다. 2위인 박원순 시장의 지지율 13.5%보다도 약 3배가량 앞서는 수치다. 이어 문재인 의원 9.3%, 김무성 대표 4.9% 순이다.

    결과적으로 반기문 총장이 없는 새누리당은 높은 정당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정권재창출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반 총장을 영입하기만 하면 정권재창출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 과연 당을 장악하고 있는 김무성 대표가 그런 상황을 용인하겠느냐 하는 점이다.

    국정감사 기간인 지난 13일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나고, 지난 16일에는 베이징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경제 블랙홀’이라며 금기시한 개헌론을 꺼내드는 등 이미 사실상의 대권행보를 시작한 그가 ‘김무성 대세론’을 이유로 반 총장을 거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쩌면 머잖아 새누리당 내부에서 ‘김무성 대세론’에 힘을 싣는 당권파와 ‘반기문 대안론’으로 맞불을 놓는 비당권파의 싸움이 본격화될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