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형민 기자]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 초고도비만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초고도비만율(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 35 이상)은 2002년 0.17%에서 2013년 0.49%로 상승해 11년새 2.9배 증가했다.
이가운데 지난해 기준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 속하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초고도 비만율은 1.23%로, 건강보험 가입자 보험료 최상위군(보험료 상위 5%)의 0.35%보다 3.5배 높았다.
특히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에도 여성의 초고도비만율은 1.57%로 남성 0.87%보다 3.3배 높았다.
또한 건강보험 가입자 가운데 보험료 최하위군(보험료 하위 5% 기준)과 최상위군 간의 초고도비만율 격차는 2002년 0.12%에서 2013년 0.40%로 더 벌어졌다.
지역별로는 16개 시도 중 제주의 초고도비만율이 0.68%로 가장 높았고 강원(0.62%), 인천(0.59%)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지역별로는 제주 남성의 초고도비만율이 0.75%로 가장 높았고 울산 남성이 0.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의 경우 강원 지역이 0.66%로 최상위권, 대구가 0.33%로 최하위권에 랭크됐다.
지역별 2002년 대비 증가율은 울산 3.0배로 가장 높고 전북 2.1배로 가장 낮았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초고도비만율(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 35 이상)은 2002년 0.17%에서 2013년 0.49%로 상승해 11년새 2.9배 증가했다.
이가운데 지난해 기준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 속하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초고도 비만율은 1.23%로, 건강보험 가입자 보험료 최상위군(보험료 상위 5%)의 0.35%보다 3.5배 높았다.
특히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에도 여성의 초고도비만율은 1.57%로 남성 0.87%보다 3.3배 높았다.
또한 건강보험 가입자 가운데 보험료 최하위군(보험료 하위 5% 기준)과 최상위군 간의 초고도비만율 격차는 2002년 0.12%에서 2013년 0.40%로 더 벌어졌다.
지역별로는 16개 시도 중 제주의 초고도비만율이 0.68%로 가장 높았고 강원(0.62%), 인천(0.59%)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지역별로는 제주 남성의 초고도비만율이 0.75%로 가장 높았고 울산 남성이 0.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의 경우 강원 지역이 0.66%로 최상위권, 대구가 0.33%로 최하위권에 랭크됐다.
지역별 2002년 대비 증가율은 울산 3.0배로 가장 높고 전북 2.1배로 가장 낮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