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이달부터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224만 세대의 보험료가 오른다.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소득과 재산 변동분이 적용되며 자산이 불어나면서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소득과 재산의 변동자료 적용에 따라 131만 가구는 이달부터 보험료가 내려가는 반면, 224만 가구는 보험료가 오른다.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는 매년 11월부터 소득과 재산과표 등 변동분을 반영해 1년간 부과하고 있다.
올해 전체 지역가입자 753만 가구 중 변동자료가 적용된 가구는 728만 세대이고 이중 373만 가구(51.2%)는 변동이 없었다.
전체 보험료 부과액은 전월보다 241억원(3.7%↑) 증가해 가구당 평균 3317원을 더 내야 한다.
이 가운데 보험료 감소 규모별로는 5000원 이하 감소가 44만 세대,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감소는 47만 세대다.
보험료 증가 규모별로는 5000원 이하 증가가 75만 세대,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증가는 74만 세대이며 10만원 이상 불어난 가구도 7만 가구에 이르렀다.
11월분 보험료는 12월10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보험료 산정 기준이 되는 소득과 재산 변동분이 적용되며 자산이 불어나면서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소득과 재산의 변동자료 적용에 따라 131만 가구는 이달부터 보험료가 내려가는 반면, 224만 가구는 보험료가 오른다.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는 매년 11월부터 소득과 재산과표 등 변동분을 반영해 1년간 부과하고 있다.
올해 전체 지역가입자 753만 가구 중 변동자료가 적용된 가구는 728만 세대이고 이중 373만 가구(51.2%)는 변동이 없었다.
전체 보험료 부과액은 전월보다 241억원(3.7%↑) 증가해 가구당 평균 3317원을 더 내야 한다.
이 가운데 보험료 감소 규모별로는 5000원 이하 감소가 44만 세대,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감소는 47만 세대다.
보험료 증가 규모별로는 5000원 이하 증가가 75만 세대,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증가는 74만 세대이며 10만원 이상 불어난 가구도 7만 가구에 이르렀다.
11월분 보험료는 12월10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