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13년 생명표' 발표
[시민일보=고수현 기자] 우리나라 사람의 지난해 기대수명은 남성이 78.5년, 여성이 85.1년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남녀간 기대수명 격차에서 6번째 높은 수치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한 아기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수명은 이같이 조사됐다. 이는 2012년에 비해 각각 0.6년과 0.4년 증가한 수치다.
한국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은 OECD 34개국 평균(남성 77.6년, 여성 82.8년)보다 각각 1.0년과 2.2년씩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남자 기대수명은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81.6년)보다 3.1년 낮아 34개국 중 18위 수준이다.
또 여자 기대수명은 1위인 일본(86.4년)보다 1.3년 낮은 4위 수준이다.
남녀간 기대수명 격차는 6.5년으로 OECD 평균(5.3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4개 회원국 중 6위 수준이다.
남녀 기대수명 격차는 아이슬란드(2.7년), 뉴질랜드(3.5년), 네덜란드(3.7년), 영국(3.7년) 등이 작은 반면 에스토니아(10.1년), 폴란드(8.4년), 슬로바키아(7.4년) 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인의 기대여명은 모든 연령대에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60세 남성은 0.5세, 20~60세 여성은 0.4세 가량 기대여명이 증가했다.
남성의 연령별 기대여명은 ▲10세 68.9년 ▲20세 59.0년 ▲30세 49.3년 ▲40세 39.7년 ▲50세 30.6년 ▲60세 22.0년 ▲70세 14.2년 ▲80세 8.0년 ▲90세 4.2년 ▲100세 2.4년 등이었다.
여성의 기대여명은 ▲10세 75.4년 ▲20세 65.5년 ▲30세 55.6년 ▲40세 45.9년 ▲50세 36.3년 ▲60세 27.0년 ▲70세 18.0년 ▲80세 10.3년 ▲90세 5.1년 ▲100세 2.7년 등이었다.
2013년 출생아가 향후 사망하게 되는 요인으로는 ▲악성신생물(남자 28.1%, 여자 16.6%) ▲뇌혈관 질환(남자 9.3%, 여자 11.5%) ▲심장 질환(남자 9.1%, 여자 11.9%) ▲폐렴(남자 5.7%, 여자 5.9%) 등의 비중이 높았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 우리나라 사람의 지난해 기대수명은 남성이 78.5년, 여성이 85.1년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남녀간 기대수명 격차에서 6번째 높은 수치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한 아기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수명은 이같이 조사됐다. 이는 2012년에 비해 각각 0.6년과 0.4년 증가한 수치다.
한국 남자와 여자의 기대수명은 OECD 34개국 평균(남성 77.6년, 여성 82.8년)보다 각각 1.0년과 2.2년씩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남자 기대수명은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81.6년)보다 3.1년 낮아 34개국 중 18위 수준이다.
또 여자 기대수명은 1위인 일본(86.4년)보다 1.3년 낮은 4위 수준이다.
남녀간 기대수명 격차는 6.5년으로 OECD 평균(5.3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4개 회원국 중 6위 수준이다.
남녀 기대수명 격차는 아이슬란드(2.7년), 뉴질랜드(3.5년), 네덜란드(3.7년), 영국(3.7년) 등이 작은 반면 에스토니아(10.1년), 폴란드(8.4년), 슬로바키아(7.4년) 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인의 기대여명은 모든 연령대에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60세 남성은 0.5세, 20~60세 여성은 0.4세 가량 기대여명이 증가했다.
남성의 연령별 기대여명은 ▲10세 68.9년 ▲20세 59.0년 ▲30세 49.3년 ▲40세 39.7년 ▲50세 30.6년 ▲60세 22.0년 ▲70세 14.2년 ▲80세 8.0년 ▲90세 4.2년 ▲100세 2.4년 등이었다.
여성의 기대여명은 ▲10세 75.4년 ▲20세 65.5년 ▲30세 55.6년 ▲40세 45.9년 ▲50세 36.3년 ▲60세 27.0년 ▲70세 18.0년 ▲80세 10.3년 ▲90세 5.1년 ▲100세 2.7년 등이었다.
2013년 출생아가 향후 사망하게 되는 요인으로는 ▲악성신생물(남자 28.1%, 여자 16.6%) ▲뇌혈관 질환(남자 9.3%, 여자 11.5%) ▲심장 질환(남자 9.1%, 여자 11.9%) ▲폐렴(남자 5.7%, 여자 5.9%) 등의 비중이 높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