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제2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누수현상 발생 이후 실시된 정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최소 3곳에서 물이 새는 것으로 밝혀져 안전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아쿠아리움을 임시 휴장하고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학과 교수는 지난 10일 오후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대책수립이 더 필요한데 하루, 이틀 정부합동조사단 가지고는 안 되고 그 조사단이 점검을 한 후 임시 휴장해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서 모든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대책방안을, 안전에 대한 그것을 내놓아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 교수는 “롯데측은 별일이 아니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2롯데월드 건설 기간 내내 안전에 관한 크고 많은 사고가 있었다. 이것들을 사람들이 다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형식적인 말이 아니라 ‘왜, 무엇 때문에 안전한 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보통 수족관을 상·하부로 완전히 고정시키면 고정을 안 시킨 것보다 4배의 힘을 더 받을 수 있는데 상부가 고정이 안 된다고 하면 수압에 못 견뎌서 붕괴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그래서 이것을 견딜 수 있는지, 이것에 대한 안전점검, 안전진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아쿠아리움 아래층에 위치하고 있는 송파변전소에 대해서는 “수족관 붕괴 사고가 발생하면 감전 등 상상할 수도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변전소 위에 7중 방수가 돼 있어 안전하다’는 롯데측 주장에 대해서는 “4000톤의 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 7중 방수가 아니라 10중 방수라도 소용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7중 방수라는 것은 지금 사용 중의 물이 누수가 안 된다는 것이지, 4000톤의 물이 다 붕괴돼서 들어간다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아쿠아리움을 임시 휴장하고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안형준 건국대 건축학과 교수는 지난 10일 오후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정확한 대책수립이 더 필요한데 하루, 이틀 정부합동조사단 가지고는 안 되고 그 조사단이 점검을 한 후 임시 휴장해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서 모든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대책방안을, 안전에 대한 그것을 내놓아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 교수는 “롯데측은 별일이 아니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2롯데월드 건설 기간 내내 안전에 관한 크고 많은 사고가 있었다. 이것들을 사람들이 다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형식적인 말이 아니라 ‘왜, 무엇 때문에 안전한 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보통 수족관을 상·하부로 완전히 고정시키면 고정을 안 시킨 것보다 4배의 힘을 더 받을 수 있는데 상부가 고정이 안 된다고 하면 수압에 못 견뎌서 붕괴가 될 가능성이 있다”며 “그래서 이것을 견딜 수 있는지, 이것에 대한 안전점검, 안전진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아쿠아리움 아래층에 위치하고 있는 송파변전소에 대해서는 “수족관 붕괴 사고가 발생하면 감전 등 상상할 수도 없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그는 ‘변전소 위에 7중 방수가 돼 있어 안전하다’는 롯데측 주장에 대해서는 “4000톤의 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면 7중 방수가 아니라 10중 방수라도 소용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7중 방수라는 것은 지금 사용 중의 물이 누수가 안 된다는 것이지, 4000톤의 물이 다 붕괴돼서 들어간다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