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정찬남 기자]그동안 지하수를 사용해온 광주지역 4개 자연마을에 올해 상수도가 공급됐다.
광주광역시는 외곽지역 자연마을에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 올해 6월까지 8억 원을 투입해 광산구 학연, 동산, 봉정, 와산 등 4개 마을 326가구(504명)의 상수도 공급 공사를 마쳤다.
자연마을 상수도 공급 사업은 시가 지난 1996년부터 총 33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하수 사용에 따른 불편이 큰 마을을 우선 선별해 2020년까지 연차별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249억 원을 투입해 266개 마을 1만4728가구(3만7977명)에 상수도를 공급했다.
이로써, 현재 광주지역 자연마을 총 318곳 중 84%에 상수도가 공급됐고, 북구와 광산구 48개 자연마을 1867가구가 미공급 지역으로 남았다.
시는 내년에는 광산구 8개 자연마을 276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키로 하고 사업을 조기 완료하기 위해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상수도가 공급되지 않은 자연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자가 우물, 소형 관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자연마을 수돗물 공급 사업을 마치면 주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는 외곽지역 자연마을에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 올해 6월까지 8억 원을 투입해 광산구 학연, 동산, 봉정, 와산 등 4개 마을 326가구(504명)의 상수도 공급 공사를 마쳤다.
자연마을 상수도 공급 사업은 시가 지난 1996년부터 총 33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하수 사용에 따른 불편이 큰 마을을 우선 선별해 2020년까지 연차별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249억 원을 투입해 266개 마을 1만4728가구(3만7977명)에 상수도를 공급했다.
이로써, 현재 광주지역 자연마을 총 318곳 중 84%에 상수도가 공급됐고, 북구와 광산구 48개 자연마을 1867가구가 미공급 지역으로 남았다.
시는 내년에는 광산구 8개 자연마을 276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키로 하고 사업을 조기 완료하기 위해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상수도가 공급되지 않은 자연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자가 우물, 소형 관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자연마을 수돗물 공급 사업을 마치면 주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