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최대성 |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은 소·소·심을 알고계신가요? 소·소·심이란 소화기, 소화전, 심폐소생술의 앞 글자를 딴말로서 시민 여러분께서 화재와 안전에 대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든 약자입니다. 이 세가지만 알고 있으면 여러분 가족이나 이웃들을 재난상황에서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소·소·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소화기 사용법에 대해서는 많이 접해보셨을 것입니다.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고 소화기 호스를 화점으로 향한 후 레버를 잡아당기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화재초기에는 ‘소화기 한 대가 소방차 한 대보다 낫다’는 말이 있습니다. 여러분도 가정이나 학교, 회사에 소화기가 어디 배치되어 있는지 지금 확인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소화전의 사용법은 소화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일정규모 이상의 시설에는 대부분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발생시 건물 내의 소화전위치를 확인한 후 소화전함을 열고 호스를 화점으로 향한 후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면 방수가 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나 직장에 소화전의 위치를 알아두는 건 어떨까요.
마지막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V나 영화에서 본적이 있으실 겁니다. 정확한 방법을 숙지하신 후 심폐소생술을 실시한신다면 소생률은 높아질 것입니다. 심폐소생술(CPR)은 심장과 폐의활동이 멈춰 호흡이 정지되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처치를 말합니다.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명을 살릴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뇌가 손상되기 때문에 소생률은 점점 떨어지게 됩니다.
심폐소생술 시 가슴압박은 양쪽 젖꼭지 사이의 흉부 정중앙에 체중을 실어 눌러줍니다. 팔꿈치를 곹게 펴고 체중을 실어 30회 압박합니다. 압박시 흉부가 5~6cm가 내려가도록 눌러줍니다. 인공호흡은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기도를 확보한 후 코를 막고 인공호흡을 2회실시 합니다. 가습압박과 인공호흡을 함께 119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시행합니다.
간혹 TV나 신문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아들이 아버지를 살리거나 지나가던 학생이 쓰러져있던 할머니를 살렸다는 기사를 접해보셨을 겁니다. 어렵지만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심폐소생술을 배워 보시는건 어떤지요.
여러분께 지금까지 말씀드린 소·소·심에 대해서 더 정확히 알고 싶거나 배워보실 생각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집 주위의 가까운 소방서를 방문하셔서 배워 보세요. 여러분들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작은 관심이 우리가족과 이웃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