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진쑥은 다른 쑥과 달리 겨울에도 죽지 않고 여러 해 동안 살기 때문에 ‘사철쑥’이라고도 불린다. 인진쑥에는 비타민A(=레티놀)가 많이 들어 피부미용에 좋을 뿐 아니라 간 기능 개선, 동맥경화 완화 등의 효능이 있다. 이런 효능을 가진 인진쑥 먹는 법은 인진쑥 환, 인진쑥 즙, 말린 인진쑥 등이 있다.
하지만 인진쑥의 효능은 민간요법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고, 인진쑥의 효능을 검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수가 적다. 반면 최근 면역력 강화 효과로 유명한 홍삼이 기미를 없애 피부미용에 좋은 음식임이 확인되며 피부미용을 위해 홍삼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부산대학교 김문범 교수 연구진은 여성 기미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3g의 홍삼을 24주간 복용시키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홍삼 복용 전과 비교해 피부의 색소침착, 홍반, 기미 평가지수(MASI)가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홍삼 복용 전 184.3이던 색소침착이 복용 후 159.7로 줄어들고, 홍반도 기존 253.6에서 216.4로 개선됐다. 기미 증상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는 기미 평가지수도 8.8에서 5.6으로 낮아졌다.
이 실험 결과에 관해 김 교수는 "홍삼의 페놀성분이 항산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해 자외선 B로 인한 색소침착을 감소시킨다"면서 "기미 환자들이 홍삼을 지속해서 섭취함으로써 기미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홍삼의 효능이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입증되며 홍삼 절편, 홍삼액기스, 홍삼정, 홍삼 농축액, 홍삼진액, 홍삼양갱 등 다양한 홍삼 제품의 인기가 높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홍삼 제품이 어떻게 만들었는지 제조 과정을 확인해야 한다.
홍삼 액기스는 보통 홍삼을 물에 달이는 물 추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 방식은 홍삼 성분 중 물에 녹는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는데, 그 비율이 전체의 절반도 되지 않는 47.8%에 불과하다. 나머지 성분은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성분은 달여낸 홍삼 찌꺼기와 함께 모두 버려지게 된다.
‘전체식 홍삼’은 이러한 물 추출 방식의 단점을 보완했다. 이 방식은 홍삼 농축액에 홍삼을 통째로 갈아 넣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버려지는 홍삼 찌꺼기가 없고, 수용성 성분은 물론 불용성 성분까지도 모두 먹을 수 있어 영양분 섭취율이 95%에 이른다.
인진쑥은 비타민A가 들어있어 피부미용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 효능이 민간요법이나 음식 수준이고 상대적으로 검증이 부족하다. 반면 홍삼은 그 효능이 검증됐고 면역력 강화, 피로회복 등의 다른 추가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홍삼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